그러나 우리는 장소운동이 ‘모든’ 변화를 대표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그의 주장을 반박할 수도 있다.
한편, 그의 제자인 제논의 역설들을 반박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1) “아킬레스와 거북이가 달리기 시합을 한다. 거북이의 속도가 아주 늦기 때문에, 거북이를 먼저 출발시킨다. 아킬레스가 거북이가 있던 지점 A에 도착할 때 거북이는 다른 지점 B로 이동하고, 그가 B에 도착할 때 거북이는 또 다른 지점 C로 이동하는 식으로 계속 진행되기 때문에, 그는 끝까지 거북이를 앞지를 수가 없다” (2) “운동 중인 화살은 공간의 한 지점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것은 결국 정지해있는 것이다. 따라서 날아가는 화살은 정지해있다” (3) “겨울밤에 내리는 눈송이들은 소리가 없다. 눈송이 두세 개를 모아 떨어뜨려도 아무 소리가 나지 않는다. 따라서 눈송이가 뭉친 우박이나 집채만한 눈덩이가 떨어질 때도 소리가 나지 않을 것이다”
철학자들은 상식을 벗어나는 이런 역설들을 어떤 식으로 반박해야 할지 오랫동안 고민해왔다. 상식을 벗어난다고 해서 단순하게 “그건 말도 안 돼!”라는 식으로 거부할 수는 없으며, 어떤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서는 그에 적절한 이유를 제시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제논에게 어떤 반론을 제시할 수 있는가?
역설(paradox)의 어원적인 의미는 ‘상식을 벗어나는 견해’이며 그것은 ‘모순되어 보이지만 옳은 견해’나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의미하기도 한다. 역설은 종종 세련된 논리를 포함하고 있는 옳은 주장으로 판명되며 다양하고도 체계적인 사고의 기폭제가 되기 때문에, 그것은 단순히 허황된 이야기로만 치부될 수 없는 가치를 담고 있다. 8회로 기획된 <재미있는 철학이야기>는 역설적이면서도 생각해볼만한 의미를 지닌 철학적 논의로 구성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