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8.6℃
  • 흐림강릉 9.8℃
  • 서울 11.3℃
  • 흐림대전 12.3℃
  • 박무대구 11.3℃
  • 울산 14.6℃
  • 광주 13.1℃
  • 부산 13.8℃
  • 흐림고창 13.2℃
  • 흐림제주 15.8℃
  • 흐림강화 8.5℃
  • 구름많음보은 12.8℃
  • 흐림금산 9.9℃
  • 흐림강진군 13.6℃
  • 흐림경주시 9.0℃
  • 흐림거제 11.6℃
기상청 제공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40주년) 연혁

●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연혁

 

1899. 10.   1.  재단법인 미국예수교 북장로파 대한선교회 유지재단에서 단과병원(제중원) 설립

1905          종합병원으로 발족

1978. 10.   8.  계명대학교 이공대학에 의예과 신설

1979.  3.   1. 제1회 의예과 입학

1979.  9.   1. 초대학장에 정재홍 박사 취임

1980. 10.   2. 의과대학 설립 인가

1980. 10. 19.  재단법인 대구동산기독병원유지재단 해산 및 학교법인 계명기독대학과 통합으로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동산병원으로 개칭

1981.  2. 26. 의과대학 교사 착공

1981.  3.  1. 제2대 학장에 전도기 교수 취임

1981.  3.  2. 제1회 의학과 진입 (59명 진입)

1982.  6. 15. 의과학연구소 설립

1982.  7.  1. 의과대학 교사 준공

1984.  3.  1. 의과대학 직제 개편(교무과, 학생과 신설)

1985.  2. 22. 제1회 학위수여식

1989. 10.  1. 의학도서관 Medline 검색 시스템 도입

1990.  3.  1. 의과대학 간호학과 신설

1991. 11. 18. 일본 나가사끼대학과 학술협력교류 협정 체결

1993.  9.  3. 의과대학 간호학과 간호대학 간호학과로 개편 인가

1996.  3.   1. 의학유전연구소 설립

1998.  3.   1. 의예과 소속 의과대학으로 변경

1999.  3.   1. 뇌연구소 설립

2000. 5. 20.  성서캠퍼스 의과대학 신축교사 착공

2005. 3.   1. 한국의학교육평가원 제1주기 평가인증(6년)

2006. 7.   1. 의과대학 직제 개편(교수연구과, 의학정책과,대외협력과 신설)

2008.  1.  9. 신장연구소 특별연구소에서 부설연구소로 변경

2009. 12. 16. 성서캠퍼스 의과대학 교사 준공

2010.  2.  1. 의과대학 성서캠퍼스로 교사 이전

2010.  3.  1. 의용공학과 신설(신입생 30명)

2011.  3.  1. 한국의학교육평가원 제2주기 평가인증(5년)

2012.  5. 19. 의학유전연구소를 암연구소로 명칭 변경

2014.  9.  1. 의과대학 직제 개편 (교육지원센터, 학생지원센터, 교수연구지원센터, 의학정책실, 입학및대외협력실 명칭 변경)

2016.  3.  1. 한국의학교육평가원 Post 2주기 평가인증(4년)

2019.  4. 15. 교육병원(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성서캠퍼스 이전

2020.  3.  1. 한국의학교육평가원 ASK2019 평가인증(4년)

2022.  2. 17. 제38회 학위수여식

2022.  9.  1. 의과대학 직제 개편(교육지원센터 폐지, 의학교육혁신단, 임상수기센터 신설)

 

관련기사





[사설] 지방대학 고사 막기 위한 정치권의 정책적 용단 필요 유난히도 올여름은 무더웠고 비도 많이 내렸다. 어느 한순간,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의 아름다운 계절이 되었다. 하늘 푸르고 높은 이 시간에 대학은 푸르고 높은 하늘만을 ‘멍’ 때리며 바라 볼 수 없다. 수시 입시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수시가 시작되면 전국의 대학들은 숨을 죽이고 지켜본다. 2024학년도 수시 입시의 지원 결과 서울과 수도권 대학의 입시경쟁률은 상승했고, 지방대학들의 경우는 하락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찌 보면 예상했던 당연한 결과이지만 대부분의 신입생을 수시라는 입시제도를 통해 뽑고 있는 지방대학들에는 치명적이다. 지방대학이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렵다. 지방대학의 고사는 지방 인구의 감소와 지역소멸이라는 절대적인 위기의식을 불러오고, 향후 커다란 국가 전체 위기로 발전할 수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소멸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안을 허겁지겁 제시하고 있지만 이미 임계점을 넘은 우리 국민의 지방 탈출, 즉 ‘지방 엑소더스’의 거대한 파고를 막을 수는 없어 보인다. 문제의 핵심은 왜 서울을 선호하는가? 이다. 서울이 경제, 문화 및 교육의 중심지라는 생각과 출세가 가능한 곳이라는 현실과 믿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