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5.2℃
  • 구름많음강릉 10.9℃
  • 서울 5.8℃
  • 대전 6.4℃
  • 구름많음대구 8.8℃
  • 구름많음울산 13.7℃
  • 흐림광주 7.9℃
  • 흐림부산 12.5℃
  • 흐림고창 10.7℃
  • 흐림제주 15.0℃
  • 흐림강화 6.3℃
  • 흐림보은 4.8℃
  • 흐림금산 6.1℃
  • -강진군 11.0℃
  • 구름많음경주시 9.8℃
  • 구름많음거제 12.5℃
기상청 제공

계명대신문

대구경북사회혁신지원단 공식 학생봉사단 ALL-바르미

“봉사는 일방적으로 베푸는 것이 아니라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

요즘 봉사활동을 하고 싶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학생들이 많다. 그런 학생들을 위해 우리학교 대구경북사회혁신지원단 공식 학교 봉사단 ALL-바르미가 있다. 지난 3월 2기 활동을 시작한 ALL-바르미의 조장 신훈섭(경영정보학·2 ) 씨, 변윤정(피아노·4) 씨, 박주희(한국어교육·4) 씨를 봉사활동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ALL-바르미는 어떤 단체인가?

ALL-바르미는 우리학교 대구경북사회혁신지원단 소속 공식 학생봉사단으로서 재학생이 봉사를 직접 기획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른 교내 동아리와 다른 점은 학교 단체 소속으로 학생이 주관하여 봉사를 직접 기획, 운영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입니다. 저희의 비전은 ‘학문적 지식을 기본으로 도덕적 인격을 갖춘 계명인으로서 건학이념을 실천하는 단체가 되는 것’입니다. 활동 기간에 각종 봉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삼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하게 활동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실천할 수 있는 봉사 플랫폼을 구축해 상시적 국내 봉사활동을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작년과 올해 봉사활동과 계획은?

작년에는 ‘상상의 동산, 동화책 만들기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 아동복지시설과 연계해 직접 제작한 동화책을 아동에게 선물했습니다. 이외에도 농촌지역을 방문해 벽화 그리기를 했으며 연탄 나눔 봉사활동, 지역도서관을 방문해 서가를 재배열하는 봉사활동 등 지역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봉사활동을 했습니다. 올해는 전반적으로 ‘청결 지킴이’, ‘사랑의 헌혈 행사’, ‘농촌 일손 돕기’를 주요 활동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또한, 2학기에는 봉사단 외의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전공 특화 봉사 및 다문화 가정을 위한 동화책 창작활동 등 다양한 봉사를 기획하고 실천할 예정입니다. 팬데믹 상황이 끝나감에 따라 그간 위축되었던 봉사활동이 재개되고 있고 그에 맞춰 다양한 활동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SNS를 활용하여 다양한 계획을 학생들에게 공유하고 많은 인원이 관심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ALL-바르미에게 봉사는?

일방적으로 베푸는 것이 아니라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ALL-바르미 단원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봉사하며 그들의 마음을 헤아리고 같은 시각에서 바라보고 마음으로 공감하며 봉사활동에 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서로에게 힘을 북돋아 주며 지역사회를 위해 책임을 다해 봉사활동을 실천할 것입니다.

 

봉사활동을 어렵게 생각하는 학생들에게 조언한다면

봉사활동을 어렵게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봉사는 배려하고 이해하는 마음이 있다면 실천할 수 있는 선한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주변에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있다면 기꺼이 도우려 합니다. 이처럼 우리는 일상에서도 자발적으로 타인을 위해 봉사하고 있습니다. 작은 것부터 실천해 나간다면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는 봉사를 하면서 스스로 성장하고 발전해 나가는 보람을 느끼며 더는 봉사가 어려운 활동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 것입니다.





[사설] 지방대학 고사 막기 위한 정치권의 정책적 용단 필요 유난히도 올여름은 무더웠고 비도 많이 내렸다. 어느 한순간,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의 아름다운 계절이 되었다. 하늘 푸르고 높은 이 시간에 대학은 푸르고 높은 하늘만을 ‘멍’ 때리며 바라 볼 수 없다. 수시 입시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수시가 시작되면 전국의 대학들은 숨을 죽이고 지켜본다. 2024학년도 수시 입시의 지원 결과 서울과 수도권 대학의 입시경쟁률은 상승했고, 지방대학들의 경우는 하락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찌 보면 예상했던 당연한 결과이지만 대부분의 신입생을 수시라는 입시제도를 통해 뽑고 있는 지방대학들에는 치명적이다. 지방대학이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렵다. 지방대학의 고사는 지방 인구의 감소와 지역소멸이라는 절대적인 위기의식을 불러오고, 향후 커다란 국가 전체 위기로 발전할 수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소멸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안을 허겁지겁 제시하고 있지만 이미 임계점을 넘은 우리 국민의 지방 탈출, 즉 ‘지방 엑소더스’의 거대한 파고를 막을 수는 없어 보인다. 문제의 핵심은 왜 서울을 선호하는가? 이다. 서울이 경제, 문화 및 교육의 중심지라는 생각과 출세가 가능한 곳이라는 현실과 믿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