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은사는 신문왕이, 삼국을 통일하고 죽어서도 왜구로부터 나라를 수호하는 용이 되고자 했던 아버지의 유언대로 동해에 장례(수중왕릉)를 지내고 그 은혜에 감사하는 뜻에서 감은사(感恩寺)라 이름 지은 절이다.
신문왕의 효심은 이 절터의 여러 곳에 나타난다. 절 아래쪽으로 물길을 만들고 대웅전의 바닥에 쉼터를 만들어 호국용이 된 아버지가 쉴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수중왕릉이 보이는 언덕 위에 이견대를 세우고, 매년 수차례 이 지역을 참배했다. 신문왕의 효심은 두 기의 석탑에도 이어진다. 부왕의 업적을 기념하는 장대한 석탑을 만들고 그 안에 10과의 진신사리, 40여 개의 구슬, 그리고 신의 솜씨에 비유되는 화려한 조각기법의 사리함 등 수많은 국보급 사리장치를 봉안하였다. 그래서 이 탑은 불탑이 아니라 문무왕을 기념하는 탑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이 탑은 신라 정형석탑의 출발점으로서 뛰어난 조형미를 자랑하고 있다. 백제탑과 달리 안정된 2중기단 위에 정교한 비율의 3층 탑신을 올려 상승감과 안정감을 동시에 추구하였다. 그리고 1,300년의 세월을 이겨낸 상륜부의 3.3m에 이르는 찰주는 신라인들의 우수한 합금기술을 대변한다. 아울러 수많은 석재들을 조립하여 축조함으로써 장대함을 구현하는 한편, 통일 이후 삼국이 하나 되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듯하기도 하다.
이 탑은 건축미학이나 사리장치의 예술성도 탁월하지만 신문왕의 효성 때문에 이 탑을 보면 늘 아버지 생각이 난다. 화엄사의 사사자석탑을 보면 어머니 생각이 나는 것과 같은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