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8.6℃
  • 흐림강릉 18.6℃
  • 서울 19.4℃
  • 대전 20.8℃
  • 흐림대구 22.5℃
  • 흐림울산 22.7℃
  • 구름많음광주 24.3℃
  • 흐림부산 21.0℃
  • 흐림고창 24.2℃
  • 구름많음제주 26.3℃
  • 흐림강화 17.4℃
  • 흐림보은 20.3℃
  • 흐림금산 20.9℃
  • 구름많음강진군 23.6℃
  • 흐림경주시 22.8℃
  • 흐림거제 21.0℃
기상청 제공

계명대신문

[계명人] 제1회 WE-MEET AWARDS 수상, 허태균 씨

“ 다음 목표는 지스타, 차세대 어드벤처 게임을 만들어가는 개발자 ”

 

지난 2월 24일 열린 ‘제1회 WE-MEET AWARDS’에서 우리학교 게임소프트웨어전공 3학년에 재학 중인 김정현, 허태균 씨가 실감미디어 부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상을 수상하며 상금 3백만 원을 받았다. 수상자 두 사람은 우리학교 실감미디어 사업단의 WE-MEET 프로젝트에 참여해 지난 2022년 10월부터 12월까지 프로젝트 콘텐츠 개발에 힘써왔다. 이에 본지에서는 수상자 중 허태균 씨를 만나 수상 소감과 앞으로의 개발 계획에 대해 들어보았다.

 

● 직접 개발한 콘텐츠로 수상을 이뤄낸 소감은 

사실 처음 참여할 때에는 관련 지식이 부족해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제가 부족한 부분이 많았다는 걸 다시 한번 깨달았고 그 부분을 채우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다행히 WE-MEET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현직에 종사 중이신 개발자분들과의 멘토링 기회를 얻게 되었고, 이 계기로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소중한 기회를 주신 것에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또 프로젝트를 준비하면서 도와주신 저희 전공의 조상현, 김상원 교수님 덕택에 좋은 결과를 받은 것 같습니다. 힘든 시기도 많았지만 그 경험을 통해서 제가 조금씩 성장하는 모습이 보여서 좋았습니다. 입상을 계기로 더 나은 개발자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이번 프로젝트 출품작은 어떤 게임인가 

저희가 만든 게임 제목은 ‘1VS1 GO?’ 입니다. 제목 그대로 1대1 대결 형식의 게임입니다. 다른 유저와 다양한 미니게임을  5판으 진행합니다. 개발과정에서 브롤스타즈의 UI와 카메라 시점, 폴가이즈의 캐릭터, 마리오파티의 컨텐츠 등 타인과 함께 즐길 수 있는 파티게임 장르를 벤치마킹했습니다. 또 Photon, Photon Chat, Playfab, AWS 총 4개의 게임 서버를 사용해 로그인, 회원가입·탈퇴, 실시간 채팅과 랭킹, 상점 등의 기능을 구현하였고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플레이 기반 형식의 플레이도 가능합니다.

 

● 콘텐츠를 개발하면서 어려운 점은 없었는지 

평소 개발 시에는 C#언어를 사용하는 ‘Unity’, 무료 이용이 가능하고 타 프로그램 언어와의 호환성이 좋은 ‘Visual Studio Code’, 프로젝트 파일 공유에 용이한 ‘Github’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게임개발에 사용되는 기술이나 프로그램 같은 경우 국내자료가 많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 점은 구글링을 통해 해외자료를 많이 찾아보며 해결해나갔습니다. 또 다른 어려운 점은 프로젝트 진행 당시 2학년이어서 아직 전공 지식이 많이 부족했다는 것입니다. 이 점은 멘토링을 통해 현직 개발자들에게 자문하며 극복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 게임 개발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사실 처음엔 게임을 좋아하는 한 사람으로서 다양한 게임의 장점들을 끌어모아서 게임을 만들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 본인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게임이란? 

적당한 재미, 적당한 깊이, 적당한 과금. 이 세 가지가 잘 조화된 것입니다. 무엇이든 한쪽이 과하면 다른 한쪽이 무너지기에 밸런스가 잘 맞는 게임이 가장 이상적인 게임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과거 국내 MMORPG의 아버지라고 불렸던 ‘리니지’를 가장 좋아합니다. 비록 지금은 과금으로 비판을 받고 있지만요. 또 개인적으로 PVE(플레이어 대 환경) 보단 PVP(플레이어 대 플레이어) 방식의 게임을 더 선호합니다.

 

● 수상을 거머쥔 두 사람의 다음 목표는 

게임을 좋아하는 이들이라면, 모두 아실만한 국제 게임 전시회 ‘지스타 2023’에 저희 게임을 출품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이번 상금을 다음 게임 제작 준비에 활용할 예정입니다. 아마도 슈퍼마리오 시리즈와 같은 어드벤처 형식의 게임이 될 것 같습니다. 이후 피드백을 통해 최종적으로 스팀(글로벌 온라인 게임 유통 플랫폼) 출시까지 노려보고자 합니다.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