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계명대신문

[발자취] 학내 언론사 탐방 ③ 국자신문 (계명대신문)

더 좋은 기사를 위해 우리는 발로 뛴다!

아람관 109호에 위치한 국자신문 기자실은 학내 공식 언론인 <계명대신문>이 만들어지는 곳이다. 1957년 5월 26일 <계대학보>로 시작돼 어느덧 창간 66주년을 맞이한 계명대신문은 취재, 인터뷰, 기사 작성, 지면 편집은 물론 전자신문 운영까지 학생기자들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곳이 없는 지극히 학생들을 위한 신문이다. 귀에는 낯설지만 늘 당신과 함께 해온 계명대신문, 이번 발자취에서는 계명대신문과 학생기자 활동에 대해 탐구해보자.

-엮은이말-

 

 

● 늘 미리 준비하는 자세를 가지자

2023년 계명대신문은 월 1회를 주기로 신문을 발행하고 있다. 한 학기에 4번, 1년에 8번 발행되는 신문은 학생기자들의 발로 뛰는 취재와 열정의 결과물이다. 1면 커버부터 시작해 인터뷰, 보도, 대학, 기획, 학술, 여론, 발자취 순으로 이어지는 신문은 학내외 여러 정보와 소식들을 학생들에게 전하고 있다.

 

계명대신문이 만들어지는 가장 첫 번째 과정은 바로 기획이다. 어느 신문과 기사도 그냥 만들어지지 않는다. 이번 신문은 무엇에 대해 다룰지, 누구를 만나 이야기를 들을지 전체적인 콘셉트를 정한다. 기획을 짤 때 중요한 것은 사회의 이슈와 주요 트렌드에 대한 관심이다. 요즘 무엇이 화제가 되는지 항상 귀를 기울여야 한다. 이를 위해 학생기자들은 주 1~2회 학생기자단 회의를 거쳐 그달의 신문 기획을 결정한다. 다만 결정한 내용은 그냥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신문방송국장 교원과 전임기자 등 경험이 더 풍부한 이들의 조언을 들은 후 조금 더 구체적이고 치밀하게 구성한다.

 

계명대신문 학생기자들은 1호당 평균 10개의 기획을 준비한다. 이런저런 피치못할 사정으로 결정된 기획 진행이 어려울 경우를 대비한 플랜B인 셈이다. 때로는 포털 사이트와 논문을 붙잡고 씨름하며 골머리를 앓기도 하지만 틈틈이 준비해야 발행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 사전 조사가 기사의 질을 좌우한다

자, 기획을 정했다면 다음은 취재를 진행할 차례다. 취재는 크게 현장 취재와 사전 취재로 나뉘는데, 어떠한 기자라도 곧바로 현장에 들어가 내용을 따오고 인터뷰를 진행하는 것은 힘들다. 아직 학생기자인 만큼 모든 분야에 정통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전화 취재나 자료 분석을 통해 미리 관련 내용에 대해 숙지하고 현장에 들어가야 한다.

 

뉴스거리는 적고, 쓰고 싶어 하는 기자들은 많다. 똑같은 기사는 재미없으니 남들과 다른 것을 묻고 알아야 한다. 그렇기에 사전 조사가 필요한 것이며, 그러한 과정을 거쳐야 더 좋은 질문을 던지고 기사의 질을 높일 수 있다.

 

 

● 적극적으로 취재해야 살아남는다

조사를 마쳤다면 이제 진짜 취재가 시작된다. 보도, 인터뷰, 르포 등 취재의 종류와 방식은 다양하다. 취재할 기사에 대해 미리 파악했다면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자. 단순히 행사 장면을 촬영할지, 관계자를 찾아 이야기를 들을지 등을 고민해 취재를 진행해야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적극적인 자세다. 매달 대략 30명 정도의 불특정 다수를 만나고, 20개 정도의 행사를 경험할 학생기자가 소극적이라면 좋은 장면을 담지 못할 것이다. 적극적으로 질문을 던지고 다양한 구도의 장면을 담아야만 좋은 결과물이 나올 수 있다.

 

 

● 원고 청탁은 변수가 많다

취재와 함께 진행하는 것이 있다. 바로 원고 청탁이다. 사회에 발생하는 다양한 이슈와 학술적인 내용을 학생들에게 더 쉽게 전하고자 계명대신문에서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 필진으로부터 원고를 기고받고 있다. 앞서 준비한 기획들을 가지고 적절한 필진 후보를 선정해 원고 기고를 요청드린다. 이때 필진이 한 번에 응해준다면 금상첨화겠지만 아쉽게도 현실은 그렇지 않다.

 

그렇지만 좌절하지는 말자. 원래 일은 변수가 많은 법, 플랜B를 진행하면 된다. 그런데도 이 기획을 꼭 완성하고 싶다면, 관련 분야에 대해 더 많이 공부하자. 학생기자의 관심과 열정이 필진의 마음을 움직인다. 실제로 학생기자들은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박학다식한 사회인으로 성장해나간다.

 

 

● 깔끔한 편집이 독자를 끌어당긴다

이제 모든 내용이 준비됐다면 마지막으로 지면 편집을 진행한다.  이 기사는 어떻게 배치할지, 사진은 세로로 할지 가로로 할지 등 기사의 전달력을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연구한다. 그러나 이것저것 붙인 편집보다 깔끔한 편집을 추구해야 한다. 지면 편집은 독자의 눈을 사로잡기 위한  몸부림이다. 편집이 깔끔하지 못하면 독자의 눈이 괴롭다.

 

 

● 언제 어디서든 볼 수 있는 전자신문

무사히 종이신문을 발행했다면, 이제는 전자신문이다. 종이신문은 한 눈에 전체 기사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모든 장소에 휴대하기는 어렵다. 언제 어디서나 독자가 계명대신문을 접할 수 있도록 학생기자들은 전자신문 작업을 통해 자신의 기사를 인터넷 상에 게재한다. 학생기자들은 태그나 캡션을 걸거나 메인 기사를 선정해 홈에 게재하는 등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아직 끝나지 않았다. 학생기자 활동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발행을 마쳤다면 이후 완성된 기사를 평가하며 서로 의견을 공유한다. 어떤 점이 기사의 질을 높였는지, 취재 중 어려웠던 점은 없었는지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더 나은 신문을 만들기 위해 고민한다. 이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하나의 신문 작업이 완전히 끝난 것이다.

 

● 로우 리스크 하이 리턴, 학생기자들의 삶

지금까지 학생기자들의 한 달 일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동안 학생기자들은 취재를 진행하며 많은 사람을 만나왔다. 그때마다 듣게 되는 말이 “힘들지 않나요?”다. 물론 쉽지는 않다. 시간을 쪼개 취재하고 기사를 작성하는 일은 심적으로 부담되는 일이다. 그러나 그 과정을 통해 우리가 얻어가는 보람과 결실은 부담을 한 방에 날려버린다. 다양한 사람과 만나, 자신감을 기르고 가치를 판단하는 눈을 기른다. 그리하여 생각의 범위는 넓어지고 1학년 때보다 조금 더 성장한 멋진 나를 발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