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 필자가 우리 대학에서 진행하던 공통교양 교과 시간에 이창동 감독의 <버닝>을 관람하고 감상문을 제출하라는 과제를 내준 적이 있었다. 감독 자신이 피력했던 바와 같이 ‘<버닝>’은 질문하는 영화고 해답은 관객들 스스로 찾고 완성’해야 한다. 그래서 선생의 해설 이전에 학생들의 생각을 알고 싶었다. 이 작품이야말로 안목을 갖춘 관객을 절대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놀랍게도 이 작품의 감독이 경고하고 있는 메시지를, 상당수 학생이 자기 삶의 금과옥조로 받아들일 듯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 요지는 극중 여주인공 ‘해미’가 말한 바와 같이 자신(들)도 비루한 현실 속에서 일차적 욕구에만 목을 매는 ‘리틀 헝거’가 아니라, ‘그레이트 헝거’가 되고 싶다는 것이었다. 극의 초반부에 해미가 ‘종수’에게 보여주는 ‘마임(mime)’과 그에 대한 설명은 그녀의 캐릭터를 규정하는 핵심 단서다. 그녀는 자신의 현실을 정면에서 바라보지 못하고 공허한 이상을 추구한다. 마임이란 한마디로 공허한 몸짓이고 현실도피의 방편이며 그에 대한 부연은 말장난에 불과하다. 그녀는 삶이 너무나 비루하고 개선 가능성이 없다는 생각에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나 이상을 먼 곳
여기 한 젊은이가 있다. 24세의 건장한 청년. 그러나 대학에 다니지 못하고, 주민 수가 1천 명을 약간 상회하는, 우리로 치면 인구소멸지역의 면 단위 정도 될 법한 동네에서 식료품 가게 점원으로 일하고 있다. 경찰이었던 아버지는 무슨 이유에선지 10년 전에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그 일로 인한 트라우마와 깊은 우울감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어머니는 200킬로가 넘게 나가는 몸을 주체하지 못한 채 온종일 거실 소파와 한 몸이 돼 TV를 보거나 그대로 잠들거나 하며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 대학을 나온 형이 있었으나, 제 한 몸 살기 위해 가족을 등지고 떠나버렸다. 누나가 파트타임 노동을 하며 가사 일을 돌보고 있고, 지적장애를 가진 남동생은 이제 곧 18세 생일을 앞두고 있다. 그리고 사춘기의 반항기로 똘똘 뭉친 막내 여동생까지. 일가족 부양책임을 짊어진 이 젊은이의 이름은 ‘길버트 그레이프(Gilbert Grape)’다. 영화 <길버트 그레이프>(라세 할스트롬 감독, 1994)의 원제는 ‘What's Eating Gilbert Grape(피터 헤지스 원작)’다. 직역하면 다소 살벌한 느낌인데, 의역하자면 ‘무엇이 길버트 그레이프를 힘들게 하는가’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