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0.5℃
  • 흐림강릉 0.6℃
  • 비 또는 눈서울 1.9℃
  • 대전 4.0℃
  • 대구 5.7℃
  • 울산 5.3℃
  • 광주 7.0℃
  • 부산 6.5℃
  • 흐림고창 6.7℃
  • 박무제주 12.6℃
  • 흐림강화 0.4℃
  • 흐림보은 3.6℃
  • 흐림금산 3.8℃
  • 흐림강진군 7.0℃
  • 흐림경주시 5.1℃
  • 흐림거제 7.1℃
기상청 제공

계명대신문

[계명人] 2022다문화 한글 백일장 시화부문 장원 타시로 사키 씨

“한글로 어머니와의 추억을 그리다”

 

우리에게 ‘가족’이란 어떤 의미일까. 어떨 때는 용기를, 또 어떨 때는 눈물을 부르는 가족에게 ‘감사합니다’라는 말 한마디 전하기 쉽지 않은 요즘이다. 그것은 이번 ‘2022 다문화 한글 백일장(주최:대구일보)’ 시화부문 장원에 선정된 타시로 사키(영어영문학·2) 씨도 마찬가지였다. 타시로 씨는 한국에 오기 전 일본에 계신 어머니와의 추억을 그리며, 그때 어머니께 직접 전하기 어려웠던 말들을 시화로 조금씩 풀어나갔다. 이에 그녀를 만나 작품과 그때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 추억으로 울림을 전하다

‘추억’을 중요하게 여기는 타시로 씨는 이번 백일장 주제 중 ‘고마운 사람에게 쓰는 편지’를 선택해 한국에 오기 전 있었던 어머니와의 ‘과거’를 회상했다. 그녀는 “어머니하고 친구 같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는데, 저를 굉장히 위해주시는 어머니께 굉장히 감사한 마음입니다.”라고 말하면서도 직접 ‘감사합니다’라고 말하기 부끄러워 시화로 마음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에서의 추억을 만들고 싶어 참여했던 것이 장원 선정으로 이어져 굉장히 기쁩니다.”라며 소감을 밝혔다.

 

● ‘어머니와의 추억’을 회상하며

고등학교 3학년 시기의 타시로 씨는 한국 유학과 일본 대학 진학의 기로에서 깊은 고민에 빠졌다. 그녀의 어머니 또한 대학생 시절 한국으로의 유학을 희망했지만 현실적 여건으로 포기했다. 어머니는 딸이 한국 유학을 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응원과 지지를 보냈으나, 고민의 늪에 빠져있던 타시로 씨는 가족들에게 말없이 가출했다. 이후 어머니가 타시로 씨를 찾아 설득하여 두 모녀가 같이 집으로 돌아오게 됐다. 이 작품의 배경은 바로 그때의 일이다. 타시로 씨는 “그날 어머니와 손을 잡고 집으로 돌아올 때의 풍경이 아직도 선명하게 남아있습니다.”라며 “그때 전하지 못했던 말과 그 순간을 기억하며 시화로 어머니와의 추억을 남겼습니다.”라고 말했다. 또한 그때의 기억은 타시로 씨에게 한국행을 택할 용기를 주었다. 그녀는 “한국 생활을 하며 힘들다고 느낄 때마다 작품을 보면서 위안과 용기를 얻습니다.”라고 말했다.

 

● 문화와 소통으로 어려움을 극복하다

낯선 언어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타시로 씨 또한 처음 한국에 왔을 때 수업, 일상 등에서 언어 문제로 이같은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그녀는 오로지 한국어에 대한 흥미와 열정만으로 이를 극복해 갔다. 타시로 씨는 “평소 한국 드라마를 굉장히 좋아해서 한국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서 공부했습니다. 또, 제가 외국인이다 보니 학교에서 만난 베트남 친구들이나 한국인 친구들과 간단한 한국어로 대화하거나, 아르바이트를 통해 한국말을 다지며 실력을 쌓았습니다.”라며 한국어에 능통해질 수 있었던 비결을 밝혔다.

 

● 한국생활을 통해 얻은 새로운 꿈

타시로 씨는 한국에서 생활하며 하나의 꿈이 생겼다. 한글과 한국어 실력을 쌓으면서 자연스레 한국어를 가르쳐보고 싶다는 목표가 생긴 것이다. 다만 타시로 씨는 “우선 대학생이기에 졸업을 현실적인 목표로 생각하고 있습니다.”라며 자신의 비전을 차례대로 이뤄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제 페이스대로 포기하지 않고 천천히 나아가고 싶습니다.”라며 당찬 포부를 밝혔다.





[사설] 왜 읽고 생각하고 쓰고 토론해야 하는가? 읽는다는 것은 모든 공부의 시작이다. 지식의 습득은 읽는 것에서 시작한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식 정보를 수집해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창출해 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읽기다. 각 대학들이 철학, 역사, 문학, 음악, 미술 같은 인문·예술적 소양이 없으면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고전과 명저 읽기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교과 과정으로 끌어들여 왔다. 고전과 명저란 역사와 세월을 통해 걸러진 책들이며, 그 시대의 가장 첨예한 문제를 저자의 세계관으로 풀어낸, 삶에 대한 통찰이 담겨 있는 책이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발하는 정신의 등대 역할을 하는 것이 고전과 명저라 할 수 있다. 각 기업들도 신입사원을 뽑는 데 있어서 자신의 재능과 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에세이와 작품집을 제출하는 등의 특별 전형을 통해 면접만으로 인재를 선발하거나, 인문학책을 토대로 지원자들 간의 토론 또는 면접관과의 토론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등 어느 때보다 인문과 예술적 소양을 중시하고 있다. 심지어 인문학과 예술을 모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