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4.4℃
  • 구름많음강릉 23.0℃
  • 흐림서울 24.2℃
  • 흐림대전 25.3℃
  • 구름많음대구 26.1℃
  • 흐림울산 20.9℃
  • 흐림광주 22.9℃
  • 흐림부산 20.2℃
  • 흐림고창 21.7℃
  • 흐림제주 19.2℃
  • 구름많음강화 21.4℃
  • 구름많음보은 24.0℃
  • 구름많음금산 23.5℃
  • 흐림강진군 19.9℃
  • 구름많음경주시 26.2℃
  • 흐림거제 20.1℃
기상청 제공

[1149호 이게money?]

자취생 생활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자취를 시작한지 어느덧 반년이 다되어 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저는 친구와 함께 자취를 해서 월세를 반으로 나누어 살고 있습니다. 월세랑 전기세, 가스비같은 것들은 정확히 반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생활비는 나눌 수가 없어 걱정입니다. 문제는 생필품과 식재료 부분입니다. 지금까지는 집에 공용으로 필요한 것이 있으면 굳이 말하지 않고 각자 알아서 사왔는데, 이렇게 나가는 지출을 계산해보니 생각보다 많이 들어요. TV에 보면 각자 얼마씩 모아 공동 생활비를 하는 경우도 있던데, 그 방법이 좋은 방법일까요? 저처럼 친구와 함께 사는 자취생들이 생활비를 효율적으로 나누는 방법과 알뜰하게 생활비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고 싶어요!


‘공동지출 항목은 공동카드로 결제하세요!’


마음에 맞는 친구라도 한 집에 혼자가 아닌 둘 이상 거주하면 신경 써야 할 일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금전적인 문제를 빼놓을 수 없죠. 질문처럼 매달 일정하게 발생하는 고정 지출과 달리 의지대로 소비 발생유무를 줄일 수 있는 변동지출에 대해 고민이 많아지죠. 지금부터 친구와 함께 알뜰살뜰 생활비를 관리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우선, 상대적으로 돈 관리 잘 하는 사람이 총무 역할을 하고 주기적으로 생활비를 모읍니다. 이때 생활비는 개인 비품 소비가 아닌 오롯이 공동 소비만을 위한 금액을 말합니다. 지출 내역이 모호해 질 수 있어 공동 지출 항목을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휴지, 세재 등 생활용품이 있겠죠. 식비 및 식재료 경우 애매모호 할 수 있는데요. 같이 음식을 만들어 먹거나 시켜먹는다고 서로 동의했을 때 공동카드로 결제하세요.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생각 할 수 있지만 한두 번 예외를 두면 원래 상태로 돌아갈 수 있어요. 만약 치킨이 먹고 싶으면 친구를 설득하거나 본인 카드로 결제해야겠죠. 또한 1~2주에 한 번씩 사용 내역을 서로 공유하며 투명하게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생활비에 사용하는 금융상품은 어떻게 선택하면 좋을까요? 만약 생활비를 현금으로 사용할 거라면 수수료가 나오지 않는 통장을 만드세요. 집 근처에 ATM기기가 있다면 금상첨화! 체크카드로 소비할 경우 생활비 내역을 분석해서 빈도가 높거나 금액이 많은 지출 분류를 우선순위로 파악합니다. 이후 시중에 판매하고 있는 카드 중 생활비 부분에서 혜택 받을 수 있는 지출 항목이 가장 많은 카드 상품을 고르면 됩니다. 단, 카드마다 혜택 받으려면 전월실적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한 달 생활비를 먼저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친구와 여행가서 소비할 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개인 소비 제외한 공동 생활비를 걷어 사용했는데요. 투명하게 관리되고 편합니다. 친구 분과 충분한 대화 후 시도 해 보세요. 똑 소리 나는 생활비 절약을 응원합니다.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