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8.6℃
  • 맑음강릉 15.2℃
  • 구름조금서울 22.5℃
  • 맑음대전 19.7℃
  • 구름많음대구 16.7℃
  • 흐림울산 15.9℃
  • 구름조금광주 20.0℃
  • 흐림부산 17.4℃
  • 맑음고창 18.9℃
  • 구름조금제주 18.3℃
  • 맑음강화 18.0℃
  • 맑음보은 16.2℃
  • 맑음금산 15.9℃
  • 구름많음강진군 17.3℃
  • 구름많음경주시 16.3℃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1138호 이게 money?]

‘나에게 맞는 은행을 찾는 방법은?’

‘20대 때는 다양한 금융회사의 상품을 활용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올해 17학번이 된 새내기입니다. 부모님께서 성인이 되었으니 이제부터는 직접 돈 관리를 해봐야 한다고 하시며 저에게 맡기셨습니다. 저 또한 돈을 많이 모으고 싶은 욕심이 있어서 적금이나 은행의 이율 등을 이것저것 알아봤는데 생각보다 이율이 낮아서 돈을 어디에 저금해야 할 지 잘 모르겠습니다. 일반은행을 이용하자니 이율이 너무 낮아서 목돈을 만들기 힘들 것 같고, 이율이 더 높은 3차 은행에 저금하자니 안심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재테크를 해보려고 하니, 모르는 것이 많아서 시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제 막 돈 관리를 시작하는 저에게 알맞은 은행을 찾는 방법과 재테크를 시작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부모님께서 성인이 된 질문자님에게 현명한 제안을 하셨네요. 살아오면서 여태 직접 해보지 않은 돈 관리라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금씩 재정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20대부터 든든하게 목돈을 모은다면 돈에 대한 막연한 걱정을 줄일 수 있어요. 그렇다면 어떻게 돈 관리를 해야 할까요?

제일 먼저 생각나는 방법은 금융회사를 이용하는 것이죠. 우리나라에는 여러 금융회사가 존재합니다. 종류는 은행, 협동조합, 카드회사, 보험회사, 증권회사, 우체국, 저축은행이 있습니다. 제 1금융권은 은행, 제 2금융권은 저축은행, 협동조합이 있고 공식적으로 제 3금융권이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각 금융권마다 특징과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내게 맞는 금융회사를 이용하면 됩니다. 저는 여러 은행 및 협동조합 계좌를 만들었는데요. 20대 때는 주거래 은행을 정해서 그 은행 하나만 지속적으로 거래하기보다 다양한 금융회사 상품을 가입하고 활용하는 것을 권합니다. 사회생활하는 사람보다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부담 없이 여러 은행을 경험해 볼 수 있기 때문이죠. 무턱대고 학교 학생증이 연결된 금융회사 상품을 아무 생각 없이 이용하기보다 내 소비패턴에 맞는 상품을 고르는 연습을 해야 해요. 저는 소비패턴이 조금씩 바뀔 때마다 카드 변경은 물론, 자주 거래하는 금융회사를 옮기기도 합니다. 한 은행이 전부인 것처럼 맹신하고 이용하지 마세요.

현재 예금, 적금 금리가 낮더라도 저축은 초기 종잣돈을 가장 안전하게 모으는 방법입니다. 많은 이자를 바라기보다 흩어진 소액을 목돈으로 만들어 주는 도구라는 것에 초점을 맞춰 금리보다 원금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첫 재테크를 시작하세요! 종잣돈이 있는 상태에서 투자하는 것과 투자로 종잣돈을 만드는 것은 다릅니다. 그러므로 본인이 생각하는 종잣돈 액수 기준을 정하고 그 금액이 넘을 때까지는 꾸준히 예금과 적금으로 저축 습관을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저 역시 예금과 적금을 바탕으로 종잣돈을 모았고 지금도 진행하고 있어요. 차근차근 시작하는 대학생 재테크를 응원합니다.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