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8.9℃
  • 맑음강릉 -3.2℃
  • 맑음서울 -6.4℃
  • 맑음대전 -5.5℃
  • 맑음대구 -3.2℃
  • 맑음울산 -2.7℃
  • 맑음광주 -2.7℃
  • 구름조금부산 -1.5℃
  • 흐림고창 -3.7℃
  • 흐림제주 2.5℃
  • 맑음강화 -5.2℃
  • 맑음보은 -5.6℃
  • 맑음금산 -6.2℃
  • 맑음강진군 -1.5℃
  • 구름많음경주시 -2.7℃
  • 맑음거제 -0.6℃
기상청 제공

큰 황사땐 지하철역 환기 안해…마스크 필수

"미세먼지 300㎍/㎥ 넘으면 지하철 환기 중지"

(서울=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황사가 심할 때 지하철역 안에 들어왔다고 안심하고 마스크를 벗었다가는 먼지를 그대로 들이마실 수밖에 없으니 주의가 요망된다.

14일 서울시의회 등에 따르면 서울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는 황사 등으로 바깥 공기가 일정 기준 이상으로 오염되면 환기장치 가동을 중단한다는 것이다.

환기구를 작동하면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역 안으로 들어와 공기질을 더 악화시키기 때문에 아예 환기구를 돌리지 않는다는 논리다.

이 같은 내용은 최근 시의회 전자회의록에서 공개됐다.

지난달 24일 열린 제221회 교통위원회 회의에서 지하철 황사 대책이 거론되자 서울메트로는 "황사로 실외 미세먼지 농도가 300㎍/㎥가 되면 환기구 가동을 중단하고 이후 공기질 상태에 따라 급ㆍ배기를 조절한다"라고 밝혔다.

최근 황사(3월20일) 때도 외부 먼지가 500㎍/㎥여서 환기구를 작동하지 않았다고 서울메트로는 회의에서 덧붙였다.

이에 대해 황사 때 환기구 작동을 아예 멈추는 것은 사실상 지하철역의 황사 대책이 전혀 없다는 뜻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틀 뒤인 같은 달 26일 회의에서 이 문제가 다시 거론되자 서울시 간부는 "실무자와 관련 대책을 검토해보겠다"라고 답했지만 한 시의원은 "만약 언론이 이 사실을 알면 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실제로 황사 때 지하철역 내부의 공기질은 심각한 수준이었다.

최악의 황사로 서울에 황사경보가 발령된 지난달 20일 오후 8∼9시 시청역과 충무로역, 서울역 등의 대합실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는 270∼300㎍/㎥로 지하철역 환기구 작동을 멈추는 기준이 되는 외부 먼지농도와 엇비슷했다. 평소 지하철역 미세먼지 농도는 웬만하면 50㎍/㎥를 넘지 않는다.

서울시가 측정한 당시 서울 도심의 실외 미세먼지 농도가 400∼570㎍/㎥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역사 내부 미세먼지는 외부의 50∼70% 수준이다.

시청역 외부(종로구)는 392㎍/㎥였는데 역대합실은 272㎍/㎥였고, 서울역은 바깥(용산구)이 541㎍/㎥였고 대합실은 298㎍/㎥였다.

서울메트로 관계자는 "바깥 먼지 농도가 300㎍/㎥를 넘으면 환기구를 끄는 게 실내 공기질에 오히려 좋은 것으로 나타나 환기장치를 돌리지 않았다. 1년에 한두 차례 오는 심각한 황사 때문에 막대한 예산을 들여 시설을 개선하기도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라고 말했다.

이런 사정을 고려하더라도 환기구를 작동하지 않는 사실을 지하철 이용객에게 알리기라도 해야 하지 않느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메트로의 다른 관계자는 "역내에서 마스크를 착용하라는 안내방송은 한 적이 없다. 앞으로 시민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관련 조치를 마련하겠다"라고 말했다.

banana@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2010/04/14 05:33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