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4.0℃
  • 흐림강릉 23.0℃
  • 구름조금서울 25.5℃
  • 맑음대전 27.2℃
  • 구름많음대구 26.2℃
  • 맑음울산 27.9℃
  • 맑음광주 26.3℃
  • 맑음부산 29.6℃
  • 구름조금고창 25.6℃
  • 맑음제주 27.7℃
  • 구름많음강화 25.1℃
  • 구름조금보은 24.3℃
  • 구름많음금산 25.2℃
  • 맑음강진군 26.7℃
  • 맑음경주시 25.1℃
  • 맑음거제 27.6℃
기상청 제공

[뉴스 타임머신] “새벽 3시부터 장사진” 그 시절 열람실 풍경

 

“절반 이상의 빈 좌석엔 가방이 자리를 지키거나 책이 홀로 공부하고 있으며, 어떤 사람은 꾸벅꾸벅 졸고 있다. (내가) 빈 좌석에 앉아 있으면 오전 9시를 넘어 심하면 11시 가량되어 좌석권을 내보이며 당연한 권리인 양 눈짓을 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어제의 열람실과 다를 바 없는 풍경이지만 35년 전, 그러니까 1986년 일이다. 시험 기간만 되면 만석이 되는 도서관에서 빈자리를 찾기란 예나 지금이나 어렵기는 마찬가지였다. 1986년 4월 22일자 <계명대학보>에 실린 ‘작은 질서를 위한 나의 제언’이라는 기고문은 당시의 열람실 이용 실태와 이제는 볼 수 없는 생경한 모습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글은 개강 후 두 달간 분주하게 흘러간 시간을 돌아보며 도서관 열람실의 이용 실태를 지적한다. 글쓴이 양진흥(경제학·3) 씨는 취업난으로 인한 학생들의 불안감에서 야기된 불필요한 경쟁이 “덮어두기엔 고통스럽고 밝히기엔 민망한” 열람실 이용 실태와 맞닿아있다고 말했다. 당시 열람실은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시설로 인해 학생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는데, 이에 학교는 학생들이 열람실을 공평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좌석권’ 제도를 도입했다. 그러나 이 좌석권 제도는 예기치 못한 부작용을 낳았다. 좌석권을 남들보다 먼저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과열돼, 새벽 3시부터 도서관 앞에 줄을 서는 일이 심심찮게 발생한 것이다. 또한 좌석권은 1인당 1개씩만 받을 수 있었으나, 어떻게 된 일인지 “여러 장을 얻어 친구에게 온정(?)을 베푸는” 학생들도 등장했다. 그렇게 새벽부터 줄을 서 겨우 좌석권을 얻어도 몇몇 학생들은 열람실에 가방을 가져다 두고 허기진 배를 채우러 가기도 했고, 심지어는 자리를 차지하고는 다시 집에서 잠을 자고 오는 일도 있었다고 한다.

 

글쓴이는 이러한 현상의 근본적 원인은 부족한 시설에 있지만, 그보다도 시설 확충 이전에 “공동의 이해아래 서로가 협조하여야 한다”라며 “학교의 모든 시설은 계명인 모두의 것이며 (중략) 결코 개인의 사유물이 될 수 없다는 인식”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열람실 좌석을 사유화하는 일부 학생들을 비판함과 함께 “이용자의 편에서 생각하고 (정책을) 결정해야 하며 그러한 결정이 있은 후에도 실제로 본래의 의도대로 시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책임이 학교에 있다고 말했다. 글은 끝으로 “아무리 작은 질서라고 할지라도 개인의 의지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구성원 다수의 참여가 필요하다”라고 열람실 이용 문화 개선에 모든 학생이 동참할 것을 주문하며 그렇게 된다면 “학교 당국이 학생들의 자율적 행동을 중시하고, 불합리한 측면에 한해서만 조정자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자칼럼] 렉카유튜버, 혐오가 돈이 되는 세상 정보화 시대에 들어서고, 양방향 소통 매체인 유튜브가 한국 사회의 중심이 되면서 ‘유튜버’는 막대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하나의 직업이 되었다. 시청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영상을 올리고, 시청자가 해당 영상을 클릭함으로써 발생하는 수익을 통해 부와 명예를 획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악용하는 소위 ‘렉카유튜버’들이 등장하면서, 이들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렉카유튜버’는 특정인에게 일어난 이슈나 사건 등을 영상화하여, 해당인을 모욕하고 비난하는 유튜버다. 과거엔 사건을 전달하는 역할만 한다는 점에서 이슈유튜버로 정의됐지만, 사건에 대해 모욕과 비난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 난폭운전으로 사고 현장에 달려오는 렉카(사설 견인차)와 비슷해 렉카유튜버라고 불리기 시작했다. 이들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타인의 이슈를 공론화하는 과정에서 사실을 왜곡하거나 과장된 정보를 전달해 이득을 취하려 하기 때문이다. 확인되지 않은 허위 정보라도 단독으로 내용을 전달하면, 유튜버의 수익과 직결되는 조회수가 증가하고 ‘진실을 밝히는데 기여하겠다’는 후원자가 생기기도 하는 등 이들에게 경제적 이익이 발생한다. 심지어 정기로 고액을 후원하는 시청자도 심심치 않게 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