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계사는 금강산 및 한라산과 더불어 삼신 중 하나인 지리산 자락에 위치한 사찰이다. 쌍계사는 여성 산신을 모신 산신각이 있는 국사암에서 출발했다. 신라시대 혜소선사가 세운 국사암은 민애왕이 그를 국사로 삼아서 생긴 이름이다. 진감국사 혜소의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현재 쌍계사에 위치한 육조금당이다. 육조금당은 당나라 때 중국 선종을 세운 육조 혜능의 머리를 모신 곳이다. 혜능의 머리를 쌍계사에 모신 얘기는 고려 각훈(覺訓)의 ‘선종육조혜능대사정상동래연기(禪宗六祖慧能大師頂相東來緣起)’에서 연유한다.
신라시대 때 육조 혜능을 쌍계사에 모신 것은 인도의 달마대사 이후 육조 혜능에 이르는 중국 선종의 역사에서 그가 차지하는 비중이 아주 높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불교의 최대 종파인 조계종의 수행법은 일자 무식자이자 나무꾼 출신이었던 혜능의 돈오돈수에 기초한다. 그래서 불교시대였던 신라의 스님들에게 혜능은 석가모니에 버금갈 만큼 위대한 스승이었다. 진감국사 혜소의 법명 중 ‘혜’도 혜능을 사모한 흔적 중 하나다. 전통시대 한국의 스님 중 ‘혜’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도 혜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다. 고려시대 지눌은 혜능의 법문을 기록한 『육조단경(六祖壇經)』을 보고 깨달음에 이르러 평생 그를 스승으로 삼았으며, 우리나라 승보사찰인 전라남도 송광사의 뒷산을 조계산으로 바꿨다. 조계는 혜능을 모신 중국 광동성 보림사와 가까운 곳이자 한국 조계종의 어원이다.
쌍계사에는 수많은 보물이 있지만 내가 이곳에 관심을 두는 것은 혜능의 정신 때문이다. 혜능은 달마대사 이후 오조 홍인에 이르기까지의 인도식 수행방법을 물리치고 석가의 가르침을 그대로 실천한 혁명가였다. 그는 당나라 귀족불교를 대신해서 당시 피지배자였던 농민들도 스스로 성불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래서 그의 법문은 농민들도 쉽게 알아들 수 있을 만큼 쉬웠다. 그는 글자를 모르는 자신처럼 누구나 불성을 드러낼 수 있는 방법을 실천했다. 인간은 누구나 태어나면서 불성, 즉 창의성을 갖고 있다. 단지 창의성을 드러내는 방법을 잘 모를 뿐이다. 자신이 태어나면서부터 위대한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는다면 누구나 자신의 무한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금당(金堂) 편액 좌우에 위치한 ‘육조정상탑(六祖頂相塔)’과 ‘세계일화조종육엽(世界一花祖宗六葉)’의 편액은 조선 후기의 명필가인 추사 김정희의 글씨다. 글씨의 원본은 쌍계사 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