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0.7℃
  • 구름많음강릉 18.6℃
  • 구름많음서울 23.7℃
  • 흐림대전 21.6℃
  • 흐림대구 17.9℃
  • 구름많음울산 16.9℃
  • 흐림광주 21.0℃
  • 흐림부산 17.8℃
  • 맑음고창 21.5℃
  • 제주 19.6℃
  • 구름조금강화 21.7℃
  • 구름많음보은 20.1℃
  • 맑음금산 21.0℃
  • 구름많음강진군 19.3℃
  • 맑음경주시 17.5℃
  • 흐림거제 17.6℃
기상청 제공

공지사항

제41회 계명문학상 작품 공모(~8.31)

  • 작성자 : 신문방송국
  • 작성일 : 2021-02-26 23:01:55
  • 조회수 : 702





제41회 계명문학상 작품 현상 공모



1. 모집 부문

  가(시조)

  나단편소설

  다극문학(희곡시나리오)

  라장르문학(SF, 판타지로맨스무협미스터리·스릴러)

 

2. 모집 대상전국 대학교(2년제 대학 포함재학생 및 휴학생

 

3. 작품수

  가: 1인당 5편 이상

  나단편소설: 1인당 1편 이상

  다극문학: 1인당 1편 이상

  라장르문학: 1인당 1편 이상

  ※ 한 사람이 2부문 이상에 중복 응모 가능

 

4. 원고 매수

  가제한 없음

  나단편소설: 200자 원고지 70매 내외

  다극문학: 200자 원고지 100매 내외

  라장르문학: 200자 원고지 200매 ~ 500

 

5. 접수 기한2021. 3. 2.()~8. 31.() 15:00까지 (우편접수 시 당일 소인 유효)

 

6. 제출 서류

재학(휴학)증명서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서

 

7. 접수 방법제출 서류를 아래 접수처로 우편 접수 또는 방문 제출
  ※ 방문 제출 및 접수평일 10:00 ~ 16:00 (점심시간 12:00 ~ 13:00)

 

8. 접수처: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번지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아람관 105

             계명대학교 신문방송국 행정팀

 

9. 수상작 발표

  가. 2021년 12월 중에 발표

  나계명대신문 및 전자신문(www.gokmu.com) 게시

  다수상자에게 개별 통지


10. 시상 

  가시(시조)당선작 1상장 및 부상 500만원

  나단편소설당선작 1상장 및 부상 1,000만원

  다극문학당선작 1상장 및 부상 500만원

  라장르문학당선작 1상장 및 부상 500만원

 

11. 심사 위원: 당선작과 함께 발표

   참고: 제40회 부문별 심사위원

  가시(시조)

    1) 김민정(시인, 출판사 '난다' 대표, 계명대 문예창작학과 교수)

    2) 신형철(문학평론가, 조선대 문예창작학과 교수)

    3) 박준(시인)   

  나단편소설

    1) 김영찬(문학평론가, 계명대 국어국문학전공 교수)

    2) 전성태(소설가, 중앙대 문예창작과 교수)

    3) 최진영(소설가)

  다. 극문학

    1) 김중효(연극평론가, 계명대 연극뮤지컬전공 교수)

    2) 이강백(극작가, 전 서울예술대 극작과 교수)

  라. 장르문학

    1) 손정수(문학평론가, 계명대 문예창작학과 교수)

    2) 손보미(소설가)


12. 유의사항

  • [저작권 및 당선(수상취소 관련 사항]

    1) 수상작이 이미 발표[타문학상 수상 및 온라인 게시각종 출판공연(수업의 일

      환으로 진행된 공연 포함)]되었거나 일부 혹은 전체가 표절 및 모방한 작품일 경우 

       수상을 취소할 수 있음

    2) 수상자가 사회적인 물의를 일으키는 등으로 계명문학상의 품위를 손상했을 경우 수상

        을 취소할 수 있음

    3) 심사결과 각 부문별 응모작이 수상 기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수상작을 선정하지 않

        을 수 있음

    4) 수상작에 대한 저작재산권은 저작자에게 있음계명대학교는 수상작 발표 및 공

        익과 교육적 활동에 수상작을 활용할 수 있으며그 외 사항들은 별도의 협약에 따름

   [작품 및 서류 제출 관련 사항]

    1) 작품 공모 시 봉투 겉면에 계명문학상 응모작품이라고 기재할 것

    2) 출품자의 소속대학전공 및 학년연락처(전화번호)를 기재할 것

    3) 접수된 작품 및 서류는 반환하지 않음

    4) 작품 접수는 우편 또는 방문을 통해서만 가능

    5) 재학생은 재학증명서를 제출할 것

    6) 휴학생은 휴학증명서를 제출할 것

    7) 응모자는 개인정보제공 및 활용 동의서를 반드시 제출하여야 하며(관련 양식

       다운받아 작성하여 작품과 함께 제출), 개인정보제공 및 활용 동의에 따라 

       상자는 신문과 전자신문(www.gokmu.com) 등에 이름소속 대학 및 전공학년 등

        이 공개될 수 있음

    8) 작품은 A4용지에 출력(인쇄)하여 제출

    9) 응모 부문에 따른 지정양식은 없음

     ※ 연락처 미기재 또는 관련 서류를 미제출한 경우 작품을 접수하지 않음

  • [기타 사항]

    1) 각 부문별 당선작이 2편일 경우(공동수상당선 상금을 1/2씩 나누어 지급할 

       있음

    2) 수상자는 시상식에 반드시 참석하여야 함

    3) 코로나19 등의 상황으로 사전 예고 없이 공모 일정이 변경될 수 있음


13. 문의처 및 관련 양식 내려받기 안내

  가. 문의처계명대학교 신문방송국 행정팀(053-580-5731)

  나양식 내려받기계명대학교 통합뉴스포털(https://www.gokmu.com) 상단 메뉴에서

       계명문학상 탭 하위 메뉴인 계명문학상 공지에서 내려받을 수 있음



2021. 3.

계명대학교


네티즌 의견 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210 2023학년도 신문방송국 수습기자 및 국원 모집 신문방송국 2023/02/27 92
209 2022학년도 2학기 신문방송국 수습기자 및 국원 모집 신문방송국 2022/09/06 225
208 2022학년도 1학기 신문방송국 수습기자 모집 신문방송국 2022/02/21 551
207 신문방송국 객원기자(국원) 모집 신문방송국 2022/01/04 420
206 제41회 계명문학상 수상작 및 심사위원 발표 신문방송국 2021/11/26 543
* 제41회 계명문학상 작품 공모(~8.31) 신문방송국 2021/02/26 703
204 2021학년도 신문방송국 수습기자 모집 신문방송국 2021/02/17 830
203 2020학년도 신문방송국 수습기자 모집 신문방송국 2020/09/04 1161
202 제40회 계명문학상 수상작 발표 정재호 2020/09/01 1533
201 제40회 계명문학상 작품 공모 신문방송국 2020/03/05 1595
200 계명대학교 창립 120주년 기념 제39회 계명문학상 작품 공모 신문방송국 2019/02/28 1692
199 계명대신문 독자마당 응모 방법 신문방송국 2019/02/07 1754
198 2019학년도 신문방송국 수습기자 모집 신문방송국 2019/02/07 2597
197 계명대언론사 통합뉴스포털 리뉴얼 완료 신문방송국 2018/07/10 1878
196 제38회 계명문화상 수상작 발표 계명대신문방송국 2018/05/24 2030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