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서 3월은 새로운 시작의 달이다. 특히, 신입생은 입시를 끝내고 대학생이 되면서 초중고와는 다른 학교생활에 대한 기대, 설렘 또는 막연한 두려움을 동시에 느끼며 대학 생활을 시작할 것이다. 내가 소개하고자 하는 영화는 2015년에 개봉한 ‘인턴(The Intern)’이다. 이 영화는 은퇴한 노인 벤(Ben)이 젊은 CEO 줄스(Jules)의 온라인 패션 회사에 인턴으로 근무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렸다. 처음에 줄스는 벤을 옛날 방식으로 일하는 어르신으로 보지만, 차츰 그의 성실함과 경험에서 나오는 조언을 듣고 신뢰하기 시작한다. 이 영화는 세대와 나이를 뛰어넘는 우정과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성공이란 무엇인가, 건강한 소통과 타인과의 신뢰를 어떻게 구축해야 하는가 등 여러 면에서 생각해 볼 많은 주제를 던진다. 이 영화에서 생각해 볼 것 중 하나는 적응력이다. 전통적인 사무직의 경험을 가진 벤에게 빠르게 변하는 스타트업 인턴으로서의 새로운 도전이 과연 쉬웠을까? 벤의 도전은 새로운 것을 배우고 도전하는 것에 늦은 때는 없다라는 것을 보여준다. 줄스는 벤의 조언을 자신의 상황에 맞게 적용하면서 받아들이고 어려움을 극복해간다. 서로에게 도전이었던 이
“교수님, 하고 싶은 것을 모르겠어요”, “하고 싶은 것이 있었는데, 이제는 없어요” 학생들과 이야기를 나눌 때, 종종 듣는 이야기다. 고등학생과 대화해도 별반 다르지 않다. 대학 진학 이후나 졸업 이후의 계획을 구체적으로 말하는 것 같지만, 실상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은 없는 경우도 많다. 대부분 주변 사람들로부터 ‘오, 대단하구나!’ 라는 칭찬을 들을만한 계획일 뿐이다.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서 학교는 과연 무엇을 이야기해줄 수 있을까? 어려운 질문이지만, ‘좋아하는 것을 찾아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만 14세 이상의 청소년이나 대학생과 이야기를 할 때면 대부분 미래에 대한 고민을 많이 듣는다. 하고 싶은 것이 있지만 주변 눈치를 보고 ‘하고 싶은 것이 없어요’ 라고 말하는 친구, 하고픈 것이 너무 많아 고민하다 결국은 ‘하고 싶은 것이 없어요’ 라고 말하는 친구, 하고픈 것을 찾을 시간도 없이 급조한 계획을 술술 이야기 하는 친구. 대부분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은 있다. 다만, 하고 싶은 것을 삶에서 어떻게 현실화할 수 있을지 ‘방법’을 아직 탐색 중일 것이다. 아쉽게도 우리는 대학생이 될 때까지 ‘방법’을 고민하는 시간과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했다. 심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