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취업준비생의 약 40퍼센트가 공무원시험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지금도 수백만 명의 공시생들은 공무원이 되기 위해서 고군분투 중이라고 한다.공무원시험에 응시하는 공시생들은 매년 늘어가는 추세이며 2017년에는 공무원시험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이번 발자취에서는 공무원 시험에 대한 정보를 주고, 변화된 공무원 채용 제도에 대해 알아보자. -엮은이 말- 1. 국가공무원 시험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이하 국가공무원 시험)은 행정부 각 부처 및 소속기관에서 근무하는 7·9급 국가공무원을 채용하는 시험이다. 지방직 공무원과 구별되는 국가공무원 시험의 가장 큰 특징은 지역제한이 없고(단, 9급 행정직 공채의 지역 구분 모집 중 비수도권 지역은 해당 지역 거주자만 응시 가능), 7급의 경우 만 20세 이상, 9급의 경우 만 18세 이상이며, 대한민국 국적을 소유한 자라면 누구나 응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인사혁신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 9급 국가공무원 시험은 총 4천1백20명을 선발하는 시험에 21만 1천8백53명이 지원하여 53.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올해에는 4천9백10명 선발에 역대 최다 인원인 2
2017년의 대학정책은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사업(이하 프라임 사업)’,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이하 코어 사업)’ 등 대학재정지원사업의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작년 말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를 비롯한 국내의 정치적 파동으로 인해 대학정책의 급격한 변화가 예상된다. 이에 올해 첫 번째 대학기획 ‘2017년 대학정책, 어떻게 달라졌나’에서는 올해의 대학정책이 나아갈 방향과 각 정책의 세부사항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학정책 관련 예산 증가올해 교육부 예산은 작년보다 8.8% 증가한 60조 6천5백7십2억 원으로 편성됐다. 이 중 대학정책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사업비는 9조 2천6백7십3억 원으로, 작년도에 비해 약 8백8십9억 원 증액됐다. 고등교육 부문은 사회맞춤형 인재 양성, 개인 기초연구 지원, 대학자율성 확대에 중점을 두고 편성됐다. 2012년부터 시작되어 2017년 2월 종료될 예정인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 사업(이하 LINC 사업)’은 사업 종료 이후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 사업(이하 LINC+ 사업)’으로 확대된다. 또한 기초연구 확대를 위해 ‘인문사회 기초연구 사업비’와 ‘이공계열 개인기초연구 사업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