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석탑의 나라라고 불릴 만큼 석탑이 많다. 지정문화재의 대부분 석탑이고, 일부가 전탑이다. 석탑이 많은 이유는 석탑이 중국이나 동남아의 탑의 모양과 다른 한국 특유의 독창적인 모델이라는 점과 우리 지형이나 절집의 정제된 모습에 어울리기 때문일 것이다.
석탑 가운데서 모전석탑이라고 하는 독특한 형식이 있다. 모전석탑은 석재를 벽돌 모양으로 잘라 중국풍의 전탑 형태로 만든 탑이다. 선덕여왕때 만들어진 분황사탑이 시초이며, 그 발전된 모습이 의성, 선산, 영양 등지에 일부 남아 있다.
의성 탑리의 5층석탑은 전체적으로 전탑의 형식을 본받고 있다. 지붕돌 윗부분의 층급, 단층 기단, 감실, 석재를 벽돌처럼 자른 점 등이 전탑의 모습이다. 원래 중국의 전탑이 목탑의 형식을 형상화했듯이 이 탑도 목탑을 형상화하고 있다. 1층에서 5층에 이르는 몸돌에 갓기둥과 안기둥이 있는데 특히 1층의 갓기둥은 배흘림 형식이다. 목탑을 형상화한 또 다른 증거는 1층 갓기둥을 모두 딴 돌로 세우고, 기둥 윗부분(柱頭)에 목조건물에서 기둥과 공포 사이의 짜 맞추는 형식(坐頭, 額枋)이 조각돼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전탑에서는 볼 수 없는 처마 끝의 약한 반전도 이 탑이 목탑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이 탑은 전탑의 형태를 취하면서 신라 정형 석탑으로 이행되는 과정에 있는 탑이다. 즉 석재가 분황사탑보다 큰 모양으로 잘라졌고, 갓기둥과 안기둥이 있으며, 14장으로 짜 맞춘 지대석 위의 기단은 24장의 돌로 짜 맞추었다. 각 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짜 맞추는 형식이 석탑을 닮아 있다. 그리고 처마 끝의 약한 반전은 이후의 석탑에서 필수적으로 등장한다. 따라서 이 탑은 모전석탑에서 초기 석탑의 형태로 전환하는 탑으로서 탑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