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3.6℃
  • 흐림강릉 20.2℃
  • 흐림서울 25.6℃
  • 구름많음대전 23.8℃
  • 구름많음대구 19.9℃
  • 울산 17.3℃
  • 흐림광주 22.5℃
  • 부산 18.8℃
  • 구름많음고창 23.1℃
  • 제주 20.5℃
  • 흐림강화 23.9℃
  • 흐림보은 22.3℃
  • 흐림금산 23.1℃
  • 흐림강진군 19.9℃
  • 흐림경주시 18.3℃
  • 흐림거제 18.1℃
기상청 제공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영화 '행복을 찾아서'

 

행복이란 무엇일까. 뜬금없는 질문처럼 들리겠지만 요즘 내 생각을 지배하는 물음이다. 한때 “행복은 이런 기분!”이란 생각을 한 적이 있었다. 원하고 바라던 것이, 이젠 일상이 되어버린 지금 그때의 감정을 잊고 살았다. 그런 내게 한 학생이 “행복하세요”라고 말한다. 그래, 아니 글쎄. 말을 머뭇거렸다. 아마도 그 학생은 행복하라고 한 말을 나는 순간 행복한지를 묻는 것처럼 들었다. 글쎄! 나는 지금 행복한가? 이런 물음에 그날의 기억을 떠올리는 영화 한 편이 있었다.

 

영화 <행복을 찾아서>, 홀딩스 인터내셔널 CEO 크리스 가드너의 자전적 이야기를 담은 이 영화는 평범한 한 남자의 일상에서 시작한다. 크리스 가드너는 한물간 의료기기를 판매하러 동분서주하지만 늘 허탕이다. 생계를 책임지던 아내는 이런 남편의 무능력에 지쳐 떠나고, 그는 아들과 노숙자 신세가 된다. 헌혈로 받은 몇 푼의 돈으로 끼니를 때우고 노숙자 쉼터나 공공 화장실에서 잠을 청하면서 이 상황을 벗어나고자 안간힘을 쓴다.

 

그런 그에게 찾아온 기회, 바로 주식 중개인 인턴십에 합격한다. 그러나 6개월 동안 무보수로 일하며 단 한 명의 정직원이 되기 위해 최고의 성과를 올려야 했다. 그동안 생활은 여전했고, 그럴수록 간절한 마음은 더했다. 마지막 날, 사장으로부터 정직원이란 말을 듣는 순간 그는 거리로 뛰쳐나와 두 손을 불끈 쥐며 이렇게 말한다. “내 인생의 이 짧은 순간을 ‘행복’이라고 불러요.”

 

무엇을 해야 할지 막막하던 시절, 우연히 부여잡은 손에 이끌려 공부의 길에 들어섰다. 그 길은 험했고 앞이 보이지 않았다. 내 능력 또한 이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런데 나에게 주어진 상황은 절박했고, 나의 바람은 간절했다. 무엇이든 해야 이 불안감을 떨쳐낼 수 있었기에 닥치는 대로, 어떻게든 하려고 발버둥쳤다. 그런 마음이 닿았던 것일까. 어렴풋하게나마 내가 해야 할 일, 그 너머의 길이 보일 때, 나는 작은 위안과 기쁨을 느꼈다. 행복이란 이런 기분이 아닐까. 절박한 상황과 나의 간절함이 만든 희열, 여러분들도 이런 행복을 느껴봤으면 좋겠다.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