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4℃
  • 맑음강릉 3.5℃
  • 맑음서울 -2.9℃
  • 맑음대전 0.3℃
  • 맑음대구 2.6℃
  • 맑음울산 3.0℃
  • 구름많음광주 2.7℃
  • 맑음부산 3.7℃
  • 흐림고창 0.4℃
  • 흐림제주 8.3℃
  • 맑음강화 -2.2℃
  • 구름조금보은 0.3℃
  • 구름조금금산 1.0℃
  • 구름많음강진군 2.3℃
  • 맑음경주시 3.1℃
  • 맑음거제 4.8℃
기상청 제공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스티븐 존슨, ‘원더랜드'

재미와 놀이가 어떻게 세상을 창조했을까?

 

우리는 인류의 역사를 바뀐 위대한 발명품들은 천재들의 직관적인 통찰이나 오랜 연구와 노력의 결과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우리의 선입견을 깨고 신선한 충격을 준 책 ‘원더랜드’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의 저자 스티븐 존슨은 ‘우리는 어떻게 여기까지 왔을까’, ‘탁월한 아이디어는 어디서 오는가’ 등 책을 집필한 베스트셀러 작가로, 혁신과 아이디어의 역사를 과학기술과 접목해 독창적이고 흥미롭게 풀어내고 있다. 스티븐 존슨은 ‘원더랜드’에서 인류는 최소한의 기본적인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면, 바로 놀이를 만들어 내고 늘 새로운 체험을 갈구하고 놀라움을 지향해 왔는데, 이러한 재미와 놀이의 추구가 ‘혁신의 잠재력’이 되었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이러한 혁신의 잠재력이 전혀 예측되지 않았던 인류의 역사를 바꾼 새로운 발명품의 기반이 되었는지를 기술하고 있다.

 

‘원더랜드’는 재미와 놀이를 추구하는 인류의 기본적인 욕구와 인류의 위대한 발명품 간의 연결고리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풍부한 사례와 영감이 넘치는 사고 전환으로 전개하고 있다. 신비한 소리에 대한 탐닉은 컴퓨터 산업을 만드는 근간이 되었고, 멋있는 옷을 입고 싶은 충동과 맛에 대한 집착은 항해술을 발전시켰고, 우아하게 장식된 포목점이 산업혁명을 촉발했으며, 커피 맛은 근대 언론 기관 탄생 기반이 되었다는 것을 흥미 있게 기술하고 있다.

 

저자는 역사적으로 자기 자신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려고 혼신을 다할 때 한계를 넘는 혁신이 일어난다는 것에 주목하고, “미래를 보고 싶다면 가장 신바람 나게 노는 사람을 주목하라.”로 책을 마무리한다.

우리나라는 이제 선진국의 문턱에서 fast follower에서 first mover로 전환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새로운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발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하지만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새 술은 새 부대에’라는 성경의 구절처럼 그동안 우리가 해왔던 생각하고 일하는 방식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 우리가 꼭 한번 읽어봐야 하는 책으로 ‘원더랜드’를 추천한다.





[사설] 지방대학 고사 막기 위한 정치권의 정책적 용단 필요 유난히도 올여름은 무더웠고 비도 많이 내렸다. 어느 한순간,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의 아름다운 계절이 되었다. 하늘 푸르고 높은 이 시간에 대학은 푸르고 높은 하늘만을 ‘멍’ 때리며 바라 볼 수 없다. 수시 입시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수시가 시작되면 전국의 대학들은 숨을 죽이고 지켜본다. 2024학년도 수시 입시의 지원 결과 서울과 수도권 대학의 입시경쟁률은 상승했고, 지방대학들의 경우는 하락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찌 보면 예상했던 당연한 결과이지만 대부분의 신입생을 수시라는 입시제도를 통해 뽑고 있는 지방대학들에는 치명적이다. 지방대학이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렵다. 지방대학의 고사는 지방 인구의 감소와 지역소멸이라는 절대적인 위기의식을 불러오고, 향후 커다란 국가 전체 위기로 발전할 수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소멸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안을 허겁지겁 제시하고 있지만 이미 임계점을 넘은 우리 국민의 지방 탈출, 즉 ‘지방 엑소더스’의 거대한 파고를 막을 수는 없어 보인다. 문제의 핵심은 왜 서울을 선호하는가? 이다. 서울이 경제, 문화 및 교육의 중심지라는 생각과 출세가 가능한 곳이라는 현실과 믿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