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3.4℃
  • 흐림강릉 9.7℃
  • 흐림서울 12.8℃
  • 흐림대전 12.6℃
  • 흐림대구 11.9℃
  • 흐림울산 10.8℃
  • 흐림광주 14.3℃
  • 흐림부산 12.2℃
  • 흐림고창 13.7℃
  • 흐림제주 15.4℃
  • 흐림강화 11.9℃
  • 흐림보은 11.5℃
  • 흐림금산 12.7℃
  • 흐림강진군 12.4℃
  • 흐림경주시 10.8℃
  • 흐림거제 12.5℃
기상청 제공

[우리말 정비소] ‘노무라단풍’, 일본에서 가지고 들어온 단풍

일본의 꽃 이름을 그대로 번역해서 사용하는 현실

울긋불긋 산마다 단풍이 절정이다. 단풍은 뭐니 뭐니 해도 가을이 제격이다. 그런데 이러한 자연의 조화를 깨고 한 여름에도 붉은 빛을 띠고 있는 단풍이 있으니 이름하여 노무라단풍이다. 일본말로 노무라가에데(野村楓,ノムラカエデ)라 불리는 단풍나무가 언제 한국에 들어왔는지는 모르지만 경복궁 뜰, 강릉 오죽헌 정원, 이순신 사당인 충남 아산 현충원 등에서도 눈에 띄어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모든 나무들이 푸르른 한여름에 하필 노무라단풍 혼자서 붉은 빛을 띠니 더욱 눈엣가시 같다.
 
노무라단풍은 일본에서 가지고 들어온 것이지만 우리나라에 있는 아름다운 꽃 이름에 일본 사람 이름이 들어 있거나 일본의 꽃 이름을 그대로 번역해서 붙인 경우는 더욱 민망스럽다. 요즘은 금강초롱이라고 부르는 꽃은 얼마 전까지 화방초(花房草, 학명은 ‘hanabusaya asiatica’)라고 불렸다. 화방초의 ‘화방’은 하나부사 요시타다(花房義質)를 일컫는 말로 그는 조선주재 초대공사다. 금강초롱을 화방초라고 이름 붙인 사람은 식물학자인 나카이 타케노신(中井猛之進)으로, 하나부사가 조선에 불러들인 일본 식물학자다. 나카이는 금강초롱 말고도 조선총독이었던 테라우치(寺內正毅)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사내초(寺內草)라는 이름을 붙여주었을 뿐 아니라 섬백리향(thymus przewarskii nakai)처럼 조선의 식물 학명에 자신의 이름 ‘nakai’를 수없이 올렸다. 개불알꽃(이누노후구리), 벼룩이자리(노미노츠즈리) 등 일본말을 그대로 번역해서 쓰고 있는 것도 문제지만 더욱 큰 문제는 우리 풀꽃 이름 속에 어떤 것이 일본말에서 유래한 것인지를 알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편 일본의 경우를 보자. 일본 식물학의 아버지 마키노 토미타로(牧野富太郞)는 그의 저서 「식물일일일제(植物一日一題)」에서 식물이름 명명(命名)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동안 일본의 풀과 나무 이름은 한자(漢字)로 써왔는데 이것은 낡은 생각이다. 한자는 중국의 문자이므로 일본의 문자인 가나(かな)로 쓰는 게 편리하고 시대 조류에 맞다. ‘동경제국대학이학부식물학교실’에서는 수십 년 전부터 식물 이름을 일본 이름(和名)과 가타카나(일본문자)로 써오고 있다. 자기나라의 훌륭한 식물 이름이 있는데 남의 나라 문자로 그것을 부른다는 것은 자신을 비하하고 독립심이 결여된 생각이다. 이러한 자세는 마치 자기 양심을 모독하고 자기 자신을 욕보이게 하는 것이므로 그 어떠한 변명도 할 수 없다.” 우리 사회가 곱씹어서 생각해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