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택한 삶은 한 잔의 차로도 충분하다. 차의 다양한 효능은 인간의 마음과 몸을 맑고 건강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시작한 차와 다도는 인류 문화에 엄청난 영향을 주었다. 나는 2005년경부터 차의 가치를 이해하기 위해 차를 연구하고 있다. 차 연구 중에서 현장 답사는 무척 즐거운 여행이다. 우리나라는 중국과 비교할 수는 없지만 일부 지역에서 차밭을 만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나를 감동시킨 곳은 경남 사천시 곤양면에 위치한 다솔사 적멸보궁 뒤편의 차밭이다. 내가 다솔사 차밭에서 감동한 것은 이곳이 우리나라 남부 독립운동의 본거지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솔사 차밭은 우리나라 차의 역사만이 아니라 독립운동사에서도 아주 중요한 곳이다.
현재 나에게 차는 숙명이다. 차를 떠나서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솔사의 차는 우리나라를 지킨 성지라서 더욱 나에게 애틋하다. 그래서 차인이라면 반드시 다솔사의 차밭을 찾아야 한다. 차밭에는 그늘을 만드는 삼나무가 살고 있다. 나는 어느 해 봄날, 해가 질 무렵 이곳 차밭에서 독립운동에 헌신한 만해 한용운과 효당 최범술을 떠올리면서 가슴 벅찬 시간을 보냈다. 삼나무에 기대어 앞을 바라보면 끝없이 펼쳐진 아름다운 산자락이 한없는 그리움을 낳는다. 차밭에서 설레는 맘으로 한용운 선생이 독립선언문 초안을 작성하고 김동리 작가가 등신불을 저술한 안심료에 도착하면 다솔사의 가치를 실감할 수 있다. 나는 안심료 마루에 앉아서 고등학교 시절에 외우고 읽었던 독립선언문과 등신불을 기억하면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현명한 민족은 역사를 잊지 않는다. 사천과 진주의 차인들은 효당 스님이 만든 다솔사의 다법을 지금까지 계승하고 있다. 적멸보궁 앞에는 진주와 사천의 차 문화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차 역사관이 있다. 차밭에 사는 토끼풀로 만든 시계를 손목에 차고 다솔사 정문으로 나오면 울창한 소나무 숲이 독립운동가의 기상처럼 푸르고 푸르다. 다솔사의 ‘솔’은 제갈공명의 출사표에서 ‘삼군을 거느린다’는 데서 유래했다. 그래서 차 역사관 천정 벽에는 출사표를 적은 종이를 붙여놓았다. 나는 다솔사의 소나무를 보면서 소나무를 의미하는 ‘솔’을 생각했다. 삼나무와 어우러진 소나무 숲은 다솔사를 더욱 빛나게 만든다. 특히 사찰 입구 소나무 숲에는 나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한 표석까지 남아 있다. 사랑하는 사람과 손을 잡고 소나무 숲길을 걸으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시간을 즐길 수 있다. 다솔사의 규모는 작지만 사찰이 지닌 가치는 가늠할 수 없을 만큼 높다. 봉새가 우는 봉명산은 다시 큰 인물이 나타나길 기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