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바람 좋은 풍경 예로부터 큰 볼거리
달 아래 거문고도 그 운치가 어떠하랴
술 마시면 근심 잊고 마음 확 트이는데
그대는 어찌하여 책벌레만 되려 하오
春風佳景古來觀(춘풍가경고래관)
月下彈琴亦一閑(월하탄금역일한)
酒又忘憂情浩浩(주우망우정호호)
君何偏癖簡編間(군하편벽간편간)
예의와 법도가 펄펄 살아 뛰던 유교의 나라 조선에서도 진정으로 대화를 나누면서 오순도순 살았던 부부들이 있었다. {미암일기(眉巖日記)}의 저자로 유명한 미암 유희춘(柳希春: 1513-1577)과 그의 아내 송덕봉(宋德峰: 1521-1578)이 바로 그런 경우다. 그들은 서로 시를 지어 보여주기도 하고, 보여준 시에다 맞장구질 치는 화답시를 지으며 놀기도 했다. 한번은 유희춘이 [지락음(至樂吟)]이라는 한시를 지어 아내에게 보여주었는데, 그 작품을 번역하면 대강 이렇다.
꽃이 흐드러져도 꼭 볼 것 까진 없고
음악이 좋다 해도 내게는 시들하네
좋은 술 예쁜 여자 모두 다 흥미 없고
진짜로 즐거운 것은 책 읽는 일 뿐이라네
이 시에 의하면 유희춘은 봄날의 몽환적인 꽃구경이나 아름다운 음악, 맛있는 술과 어여쁜 여자들에 대해서는 영 흥미가 없었던 모양이다. 아마도 그는 인생의 지극한 즐거움이 오로지 책 읽는 데 있다고 생각한 ‘딸깍발이 선비님’이었을 게다.
남편이 보여준 이 시를 읽고, 아내 송덕봉은 답장하는 시를 지어 맞장구질 쳤다. 첫 머리에서 소개한 작품이 바로 그것이다. 보다시피 아내는 ‘예쁜 여자에게도 영 흥미가 없다’고 말한 것만을 제외하고는, 남편의 견해에 대해서 낱낱이 반론을 펴고 있다. 다른 것들도 대단히 소중한 가치가 있는데, 오로지 책만 읽는 바보가 되어서야 되겠느냐는, 이유가 있는 문제 제기다. ‘인생의 스펙트럼을 좀 더 넓혀서 더 행복하게 살아보라’고 이렇게 넌지시 충고를 하고 있는 아내의 조언이 정말 따습다.
이 두 사람이 추구하는 삶의 방식 가운데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할까? 물론 사람마다 그 답이 다를 것이다. 하지만 나는 아무런 망설임도 없이 송덕봉의 손을, 그야말로 ‘번쩍!’ 들어주고 싶다. 우리가 늘상 읽고 있는 책도 책이 아닌 것은 물론 아니므로 당연히 열심히 읽어야 할 터. 하지만 사람들이 살아가는 세상이야말로, 꽃피고 새우는 자연이야말로, 음악이야말로, 술이야말로, 연애야말로 우리가 밑줄을 굵게 그어가며 정말 자세히 읽어야 할 진정한 의미의 책이 아니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