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학교 대구경북사회혁신지원단(이하 혁신지원단)이 정책자문단을 새롭게 구성하여 지난 5월 6일 올해 첫 회의를 진행했다. 정책자문단의 위원에는 권업(경영학·교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석좌교수와 오창균 대구경북연구원장, 장원용 대구평생교육진흥원장 등이 위촉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역 내 사회적 약자(노인, 장애인, 싱글맘, 외국인 노동자 등) 지원 정책 제안 ▶지역 산업과 연계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 정책 제안 ▶기타 지역사회 현안 발굴과 해결을 위한 정책 제안 및 혁신지원단 사업 방향 등이 논의됐다. 또한 지역연계 사회혁신 정책 수립 및 실행, 대학의 지역사회공헌지수 관리, 사회혁신 관련 제도 및 프로그램 실적관리와 환류, 지역 사회혁신 기관 협력 등을 점검하는 시간도 가졌다. 이인선(식품가공학·교수) 혁신지원단장은 “지역협력센터를 통해 지역의 현안을 지역전문가들과 협력하여 지역의 변화와 혁신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 명실공히 대학의 역량을 지역사회 발전의 에너지로 사용하여 지역과 대학이 상생·발전하는 초석을 다지겠다”라며 “우리학교 혁신지원단은 대학의 관점에서 지역발전과 혁신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개발하여 제공하고 봉사의 영역을 확대하는
우리학교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디지털 신기술 인재 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이하 디지털 혁신 사업)’에 선정됐다. ‘디지털 혁신 사업’은 올해부터 2026년까지 6년간 공유대학 체계를 구축하여 국가 수준의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한국판 뉴딜’ 사업의 일환이다. 우리학교는 본 사업의 미래자동차 분야와 실감미디어 분야 참여대학으로 선정돼 컨소시엄 대학들과 연계하여 분야별 인재 양성을 위한 공유대학 체계 구축 및 단계별 교육과정 개발, 타전공 학생에 대한 신기술 분야 교육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미래자동차 사업선정으로 우리학교는 대구 경북 지역 자동차 신기술지원 허브(Hub) 역할을 담당하고 자율주행/전기차 주행시험장을 통해 수준 높은 실험·실습 인프라를 제공할 방침이다. 우리학교는 지역 자동차 부품사들의 인력 수용에 대응하여 실무 교과목을 구성하고 친환경 자동차 분야 전기구동시스템 특화 교과목을 운영한다. 또한 컨소시엄 참여대학들의 특장점을 살린 퍼즐형 통합 교육모델을 정립하여 3차연도까지 35개 공동 교과목을 표준화하고 온라인에 공개하여 평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 그리고 6차연도까지 15개 공동 교과목을 신규 개발해 지역과 대학 간의 교육격차를
지난 5월 국토교통부의 공유 모빌리티 사용자 안전 정책 발표 이후 안전성과 패션성을 겸비한 모빌리티 웨어 시장에 누가 먼저 뛰어들 것인지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는 개인용 이동 수단으로 전동휠, 전동킥보드, 전동스케이트보드, 전기자전거 등을 가리킨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대중교통 기피 현상이 생겨나면서 퍼스널 모빌리티 선호가 강해졌다. 특히 20~30대 MZ(밀레니얼-Z)세대는 공유 모빌리티 사용을 통해 다른 사람과의 접촉 없이 자유롭고 간편하게 이동 수단을 즐기는 경향이 있다. 우리학교 패션마케팅학과가 퍼스널 모빌리티 웨어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노드(NOED)’라는 브랜드를 론칭했다. 지난 5월 31일부터 6월 5일까지 6일간 대명캠퍼스 동산관 화이트 갤러리에서 ‘노드’ 론칭 제안전이 진행됐다. 우리학교 패션마케팅학과는 매년 새롭게 떠오르는 니치 마켓(틈새시장)을 대상으로 신규 브랜드를 출시하는 졸업작품전을 개최한다. 학생들이 직접 브랜딩, 상품기획, 비주얼 머천다이징, 브랜드 영상제작, 버추얼 패션쇼 제작 등 모든 과정을 맡아 진행한다. ‘노드’는 퍼스널 모빌리터를 위해 테크니컬적인 디테일과 수납의 편리성, 활동성 및 안전성을 모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