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9.4℃
  • 흐림강릉 12.4℃
  • 흐림서울 9.7℃
  • 흐림대전 11.1℃
  • 흐림대구 13.0℃
  • 흐림울산 12.5℃
  • 광주 12.2℃
  • 흐림부산 11.7℃
  • 흐림고창 11.6℃
  • 제주 12.6℃
  • 흐림강화 9.5℃
  • 흐림보은 10.8℃
  • 흐림금산 11.1℃
  • 흐림강진군 12.2℃
  • 흐림경주시 12.8℃
  • 흐림거제 12.0℃
기상청 제공

[기자칼럼] 국가정책? 주민보상? 상생하는 합의 필요

국방부가 발표한 주한미군기지 이전계획이 차질을 빚고 있다. 당초부터 주한미군기지 이전계획은 우리나라가 현재 58개소에 이르는 미군기지 중에서 42개소를 반환받고 3개소를 새로 미군 측에 제공하고 미국은 이를 다시 24개소로 축소·재편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서 신설 부지는 서탄 64만평과 평택 팽성읍 일대 2백85만평인데 추진 계획에 있어 정부보상과 주민 생존권 갈등에 관련된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정부가 제시한 보조금은 주민 평균 6억원이며, 평택대책위 지도부 평균 보조금은 19억2천만원이다. 보상금에는 주거이전비와 이사비, 생계지원비, 이주정착 지원금, 주택구입 보조비 등이 포함돼 있다. 하지만 보상금이 책정됐음에도 불구하고 농민들의 반응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왜일까?


바로 계획의 강경진행과 민심의 미확보이다. 분명 주한미군기지 이전계획은 대한민국 국토 확보와 함께 국력에도 상당한 이익을 가져다준다. 하지만 표면만 보고 실질적인 사정을 외면해서는 안 되는 법, 정부가 주민들과 합의를 거치지 않은 채 기지를 건설하고 영농행위마저 불가한 상태로 강경 진행한다는 점은 ‘대를 위한 소의 희생’이라는 성향이 짙어 주위의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또한 ‘돈이 주민들에게 진정한 보상이 될 것인가’하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평택에서 손수 밭을 개척하고 일궈온 할머니와 2대째 터전을 지키고 있는 농민의 사연만 들어봐도 이곳 주민들의 절박한 심정과 보상정책의 한계를 짐작할 수 있다. 누가 평생 일궈온 터전을 한순간에 버리겠는가.


국방부에서는 이번 시위를 합리적 보상에 반한 ‘백만장자의 아우성’이라 치부하지만, 과연 평생 살아온 사람들에게 주장이 납득될 것인가는 한 번 자문해봐야 한다.


군·경의 과잉 진압과 외부단체의 개입을 떠나 정부가 지켜야 하는 것은 국민이 아닌가. 정부는 생존권 보상정책에 대해 다시 한번 주민과 상생하는 합의가 필요할 듯하다.





[사설] 왜 읽고 생각하고 쓰고 토론해야 하는가? 읽는다는 것은 모든 공부의 시작이다. 지식의 습득은 읽는 것에서 시작한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식 정보를 수집해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창출해 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읽기다. 각 대학들이 철학, 역사, 문학, 음악, 미술 같은 인문·예술적 소양이 없으면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고전과 명저 읽기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교과 과정으로 끌어들여 왔다. 고전과 명저란 역사와 세월을 통해 걸러진 책들이며, 그 시대의 가장 첨예한 문제를 저자의 세계관으로 풀어낸, 삶에 대한 통찰이 담겨 있는 책이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발하는 정신의 등대 역할을 하는 것이 고전과 명저라 할 수 있다. 각 기업들도 신입사원을 뽑는 데 있어서 자신의 재능과 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에세이와 작품집을 제출하는 등의 특별 전형을 통해 면접만으로 인재를 선발하거나, 인문학책을 토대로 지원자들 간의 토론 또는 면접관과의 토론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등 어느 때보다 인문과 예술적 소양을 중시하고 있다. 심지어 인문학과 예술을 모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