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9월 22일과 23일 양일간에 걸쳐 우리대학 한국학연구원(원장 이윤갑)과 고령군(군수 이태근)이 제 5회 대가야사 국제학술대회(이하 대가야 학술대회)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개최했다.
이번 대가야 학술대회는 ‘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대가야’라는 주제를 선정하고, 한반도 및 중국의 정세와 대가야, 대가야의 발전과 사회구조, 대가야와 백제·신라의 화친과 대립 등으로 부문별로 주제를 나누어 발표와 개별토론 및 종합토론을 가졌다.
특히, 가야사를 연구하는 연구자뿐만 아니라 백제와 신라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의 관심도 뜨거웠는데, 22일 첫 발표에 나선 충북대 양기석(역사교육과 교수)교수는 자신의 주요 연구 분야가 가야사가 아님을 몇 차례나 강조하며 가야사에 관련한 이번 발표를 준비하는 과정의 고초를 밝히기도 했다.

대가야의 역사를 집중조명 한 이번 대가야 학술대회에 중국과 일본 연구자들의 관심도 컸다. 중국 푸단대의 한승(韓昇) 교수, 일본의 이노우에 아오키(井上直樹)씨가 발표에 나선 것을 비롯해, 일본 덕도(德島)대학의 아즈마 교수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종합토론 등에서도 활발한 토론을 전개해 한, 중, 일 3국의 가야사에 대한 의견을 접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한편, 우리대학 한국학연구원과 고령군은 공동으로 대가야 역사와 문화를 해명하는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그간 ‘악성 우륵의 생애와 대가야의 문화’와 ‘대가야의 역사와 문화’ 등을 주제로 한 학술대회를 개최해 왔다. 특히 지방의 대학과 지방자치단체가 관학협력을 통해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는 점 등에 대해 학계의 관심이 뜨거웠는데, 이후 관학협력을 통한 학술활동의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제 5회 대가야사 국제학술대회' 발표 논문 |
▲5세기 후반 한반도 정세와 대가야(양기석. 충북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