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2.9℃
  • 구름조금강릉 19.3℃
  • 맑음서울 13.6℃
  • 맑음대전 14.6℃
  • 맑음대구 15.0℃
  • 맑음울산 16.3℃
  • 연무광주 14.4℃
  • 맑음부산 15.5℃
  • 구름조금고창 14.7℃
  • 맑음제주 16.5℃
  • 구름조금강화 12.2℃
  • 맑음보은 12.9℃
  • 맑음금산 14.5℃
  • 맑음강진군 15.6℃
  • 맑음경주시 17.3℃
  • 맑음거제 15.6℃
기상청 제공

계명대신문

[독자마당] 아버지가 작아졌다

아버지가 작아지신 것 같다고 느낀 어느 날의 일기다.

 

연고도 없는 대구에 와 정신없이 대학에서의 마지막 학기를 보내던 중, 오랜만에 본가에 들르게 되었다. 현관문을 열자 일찍 퇴근하신 아버지께서 나를 맞아주셨다. 맞아주셨다고 적긴 했으나, 사실은 TV를 보시다가 ‘왔나.’ 하는 무심한 투의 말이 전부였다. 그 반응에 익숙하게 '응. 나 왔어.' 대답하던 찰나에, 아주 우연하게도 20년 넘게 의식하지 못했던 무언가를 느꼈다. 허리와 다리의 건강이 좋지 않아 앉아있는 게 힘든 아버지께서 내가 집에 도착하기 전부터 앉아계셨다는 사실과 방으로 들어가는 내 등에 고정돼 있던 시선을. 그제야 알았다. 그것은 내가 알지 못했던 부모님의 온전한 애정이었다.

 

아버지는 매우 엄하시다. 인생에서 단연 변하지 않을 진리처럼 여기던 문장이었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산처럼 거대하고 가장 무서웠던 아버지는 겨울잠에 든 곰처럼 무던해지시고, 정오의 그림자처럼 작아지셨단 느낌이 들었다. 노쇠해져 다 빠져버린 치아의 자리에 틀니가 끼워지고, 까맣던 머리엔 하얗게 새치가 가득 들어차서 그랬을까. 하지만 그것은 아버지의 연로해진 외관이었지, 아버지가 변한 게 아니었다. 당신은 내가 의식하지 못했지 여전히 엄하셨고, 처음 의식한 시선도 항상 나를 향하고 있었다. 변한 건 아버지가 아니라 나였다. 손톱처럼 시나브로 자라버렸기에 이젠 호통치던 목소리가 걱정이었음을 알게 되었고, 말씀이 없으신 지금도 입술을 열까 말까 하는 망설임이 눈빛에 서려 있음을 알게 되었다.

 

온전한 마음을 깨달은 덕분에 지금은 아버지가 그렇게 무섭지 않다. 그럼에도 그 위엄은 여전하기에 당신께선 여전히 산처럼 크고 우뚝한 존재로 남아있다. 나를 키워주신 어떤 날들에 던지셨던 줄이 억압이 아니라 보호라는 울타리였음을 이해하게 됐다.

 

누군가 아버지를 떠올려 보라 하면 이제는 엄했던 모습이 아닌, 풀피리를 불어주시고, 함께 고기를 잡고, 막내인 나를 위해 그 좋아하던 술도 끊으신 아버지의 모습을 떠올린다. 어렸던 나는 이해를 먹고 자라나 아버지라는 산 안에서도 헤매지 않고 날아다니는 한 마리의 새가 되었다.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모든 존재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이들에게,  ‘어머니와 나’ 오늘도 밥은 제때 먹었는지, 수업에서 ‘예시’를 들어 쉽게 설명했는지 물으시는 아빠께 툴툴거렸다. 당신 딸의 나이가 별로 실감나지 않으시는 눈치다. 사실, 저 안에 담긴 아빠의 마음을 모르지 않는다. 그래 놓고 돌아서서 후회하는 나 같은 학생들이 많으리라. 이 책은 어느 이름 모를 여사님의 일상 목소리를 기록한 것이다. 대화의 상대이자, 책의 저자인 김성우는 바로 그녀의 아들. 70대 초반쯤 되셨을 법한 여사님은 일상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상황-거창한 시대적 사건부터 천 원에 산 감자 이야기까지-에 대한 단상들을 꾸밈없는 잔잔한 언어로 들려준다. 그런데 책을 읽어가다 보면 모든 이야기가 편편이 분절된 것이 아닌, 세월만큼 깊어진 그녀의 너그러운 지혜로 꿰어졌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 책은 한 여인이 존재했음을 증명하는 구술사이자 그녀의 에세이요, 삶에 대한 성찰을 담은 철학서인 것이다. 문학과 철학의 언어는 때로 우리에게 추상적으로 다가온다.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는 별 관련 없는, 재주 많은 이들의 영역인양 느껴지기도 한다. 리터러시 연구자로서 문자 자체에 대한 이해력을 넘어 삶이 스며있는 소통에 대해 이야기 해 온 저자는 “나의 어머니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