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실존적 인간으로 살아간다는 것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을 통해 살펴본 실존주의 사상

오늘날 청년들은 암울한 현실 앞에서 절망과 허무에 빠져 어떤 선택도 하지 못한 채 시대의 방관자로 서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질문을 던져본다. 어떻게 주체적인 인간이 될 수 있는가? 이에 대한 답을 알베르 카뮈(1913-1960)의 실존주의 사상이 잘 스며든 『이방인』(1942)의 주인공인 뫼르소의 삶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알베르 카뮈는 프랑스의 실존주의 소설가이며, 극작가였다. 카뮈는 대표작인 『이방인』에서 서로 다른 세 가지 형식의 죽음, 즉, 어머니의 자연사, 바닷가의 살인행위, 사형선고를 통해  뫼르소의 방관과 참여, 실존, 부조리, 주체 등의 개념들을 진지하게 다루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죽음 앞에서 뫼르소는 방관자에서 주체로 옮겨가는 이동의 과정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첫 번째 죽음은 양로원에서 생활하던 엄마의 자연사이다. 뫼르소는 엄마의 죽음 앞에서 철저한 방관자의 모습을 보여준다.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였을지도 모른다.”라는 충격적인 첫 문장만큼 뫼르소의 방관자와 같은 태도를 잘 보여주는 장면은 없을 것이다.  뫼르소는 어머니의 장례를 치른 다음날 마리와 영화를 보고 정사를 나눈다. 뫼르소는 어머니의 죽음을 마치 타인의 삶에서 일어난 비극처럼 무감각하게 받아들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엄마의 죽음 앞에서 보여준 이 방관자의 태도는 작품의 마지막에서 뫼르소가 사형선고를 받는 데 중요한 증거로 작용한다.  
 
두 번째 죽음은 바닷가에서 일어난 살인행위이다. 뫼르소는 바닷가에서 칼로 자신을 위협하는 아랍인에게 총 다섯 발을 쏘아 죽여 버렸다. 체포된 뫼르소는 법정에서 햇빛 때문에 쏘았다는 변명을 함으로써 마치 살인행위가 자신의 책임이 아니라는 듯이 여전히 방관자의 태도를 보여준다. 뫼르소는 자기 삶에는 이방인처럼 행동하면서 타인의 삶에는 너무나 깊은 흔적을 남기는 무책임한 사람으로 보인다. 그러나 엄마의 죽음 앞에서 보여주는 태도와는 미세한 차이가 있다. 출구 없는 사회에 대한 분노의 표출이든, 짓누르는 현실에 대한 무의식적인 저항이든, 햇빛 때문에 쏘았다는 뫼르소의 변명에는 주체를 회복하고 싶어하는 뫼르소의 무의식적 선택이 작용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우발적인 선택은 뫼르소로 하여금 죽음으로 책임을 지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한다.
 
세 번째 죽음은 뫼르소가 감옥에서 사형선고를 받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뫼르소는 앞에서 보여준 것과는 확연히 다른 태도를 보여준다. 죽음에 직면하여 뫼르소는 비로소 서서히 헐벗은 자신의 실존을 깨닫고 주체로 거듭나기 시작한다. 사르트르가 지적했듯이 뫼르소는 소설의 마지막 페이지에 가서 스스로에 대한 깨달음을 얻게 된다. 
 
이 세 번째 죽음에서 뫼르소가 자신의 실존을 깨달아가는 과정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먼저 뫼르소는 자신의 죽음을 앞두고서야 그동안 자신이 의미 없이 잡고 있던 것을 다 놓아버리고 자신에게 집중하기 시작했다. “불안이라는 기분은 우리가 그동안 집착해 온 그 모든 것의 무의미를 드러내면서 우리 자신을 비롯한 모든 것을 섬뜩하고 낯선 존재로 직면하게 하기 때문에 그 어떠한 고통보다도 더 큰 고통을 초래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고통을 용기 있게 받아들임으로써 새로운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는 하이데거의 주장처럼 뫼르소는 절대절명의 고독한 순간에 이르러서야 삶을 정면으로 응시하면서 삶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기 시작했다. 부조리한 삶에 대한 반항인으로서의 뫼르소의 모습도 짚어보자. 법정에서 뫼르소에게 사형 선고를 내린 이유는 당시 프랑스와 알제리의 관계에 비추어볼 때 부적절한 판결이라고 볼 수 있다. 당시 알제리는 프랑스의 식민지였으므로 아랍인을 죽인 것이 사형의 죄목에 해당하는 범죄는 아니었다. 정작 뫼르소를 죽음으로 몰고 간 것은 엄마의 죽음 앞에서 보여준 무감각한 태도 등의 이유가 더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뫼르소는 이러한 부적절한 판결에 순응하여 자신의 죽음을 정면으로 받아들인다. “부조리의 인간은 반항 속에서 자기 자신을 응시한다. 그는 정열로 가득 찬 주의를 기울여서 죽음을 응시하는데, 바로 그 집요한 응시가 그를 해방한다.”라는 사르트르의 해설처럼 뫼르소는 죽음을 받아들임으로써 자신의 헐벗은 실존을 서서히 깨달아가는 것이다. 
 
자신의 죽음을 응시하면서 자신의 실존적 고유성을 깨닫기 시작한 뫼르소는 “문득 본연의 침묵으로 되돌아간 우주 안에서 경이에 찬 작은 목소리들이 대지로부터 무수히 솟아오른다.”라는 『시지프의 신화』의 글처럼 세상에 대해 경이로움을 느끼기 시작한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고유성을 자각했을 때 비로소 뫼르소는 타인의 존재에 눈뜨기 시작했다. 즉, 그제서야 인생이 다 끝나갈 때 ‘약혼자’를 만들어 가졌던 엄마를 이해하기 시작했다. 엄마를 엄마라는 역할로서가 아니라 자신과 동일했던 ‘실존적 인간’으로 자각하며 타인과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 여기서 우리는 알베르 카뮈의 상반된 두 사상, 즉 ‘고독한’(Solitaire)과 ‘서로 굳게 결속된’(Solidaire)이라는 의미를 이해하게 된다.
 
카뮈는 세계대전을 경험한 20세기의 헐벗은 인간의 전형인 뫼르소를 통해 우리에게 이렇게 말하는 것 같다. 자신의 죽음-실패를 응시하라, 그 불안을 통과하라, 끝없이 바위를 산 정상으로 굴려 올려야 하는 부조리에 저항하는 시지프처럼 실패하더라도 또 시도하라, 현재에 충실하라, 햇빛 때문에 사람을 죽이는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오기 전 작은 것이라도 선택하여 생에 대한 감각을 키우라, 나의 삶이 소중하다면 타인의 삶도 소중하다는 마음으로 주체적 관계를 맺으라고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