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미디어평론] 내가 얼마나 간절히 사랑했는지

- 영화<시>


강물이 묻는다. 너는 다 견뎌낼 수 있느냐고, 얼마나 더 견딜 수 있겠냐고.

미자(윤정희 분)는 아무 답도 내지 못한다. 다만 눈물처럼 핏물처럼 뚝뚝 떨어지는 비를 맞으며, 詩를 찾아 절박하게 헤맨다. 그럼에도 시는 좀체 써지지 않는다. 삶은 막다른 골목까지 왔다. 자존심은 물론 쓸개까지 다 버렸다. 그런데 휘청대는 마음은 주책없이 점점 꽃들의 화려함 같은 예쁜 것에만 홀린다. 소도시와 농촌마을을 누비는 미자의 흰 모자와 하늘하늘한 꽃무늬 옷들은 너무 곱고 화사해 두드러지게 비현실적이다. 삶은 비루하고 오직 詩만이 아름답다. 그러나 비극은 어처구니없을 정도로 급물살을 탄다.

이창동 감독의 영화 <시>에서 유일한 음악은 강물소리뿐이다. 모든 울음을 속으로 삼키며 감내한 예순여섯의 양미자와 닮았다. 미자의 인생에 오직 하나의 아름다운 것인 만가(輓歌) ‘아녜스의 노래’는 피로 쓴 시다. 시와 몸을 바꾸는 순간 아녜스의 슬픔은 곧 미자의 것이 된다. “내가 얼마나 간절히 사랑했는지/ 당신이 알아주기를”

배우 윤정희는 온몸으로 보여준다.

시는 곧 삶이다. 그토록 시를 쓰기가 어려웠던 이유는 삶을 진짜로 잘 살아내기가 어렵기 때문이었다. 영화는 묻는다. 당신 인생의 가장 아름다웠던 순간은 언제냐고, 그 순간은 아직도 당신의 삶을 지탱하느냐고.

<시>는 대속(代贖)의 영화다. 죄 지은 자는 따로 있으나, 속죄는 죄인의 몫이 아닌 경우가 많다. 죄의식이라는 단어를 말할 가치조차 없는 외손자를 향해 미자는 “짐승도 자기 흔적은 치운다”는 잔소리밖에 못한다. 혼자 울 뿐이다. 영화 속의 피해자나 가해자들은 무감각할 뿐인데, 제3자로서 바라보는 미자만이 견딜 수 없이 고통스러워한다.

육체가 허물어진 왕년의 마초나 꿈 없는 소년에게도 삶은 버겁고 막막하다. 생생한 것은 추악하기까지 한 육체의 욕망뿐이다. 그들 중 눈앞의 生을 진정으로 ‘보는’ 자는 시로 자신을 구원하려는 미자 밖에 없다.

시를 쓰는 것 못잖게 시를 알아듣기도 어려운 일이다. 들을 귀는 쉽게 열리지 않는다. 서러운 목숨들의 마지막을 받아준 강물의 노래를 들을 줄 아는 자만이 시를 느낀다.

사라져갈 덧없는 것들에 대한 가엾은 연민, 그럼에도 죄인을 대신해 누군가는 속죄를 해야만 세상이 유지된다는 치열한 반성, 영화 <시>는 그런 각성 앞에 바쳐진 헌시다. 우리 사회의 여러 불행한 일들을 연상시킴에도, 영화는 가장 아름다운 가치에 대한 믿음을 굳게 지켰다. 올 칸느영화제 각본상을 수상한 것은 대단히 값진 성과다. 가장 한국적인 소재에 보편성을 담은 동시에 개인의 구원을 깊이 탐구했다. 시간은 흐르고 장미는 시들지언정 다음 생을 위하여 기꺼이 거름이 된 이들은 영원으로 남으리니.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