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미디어 평론]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2018)

- 노래란 몸소 부르는 자의 것

영화를 보고 나면 ‘유연(柔軟)하다’는 낱말을 다시 찾아보게 된다. 부드럽고 연하다는 뜻풀이마저 어딘가 물 같다. 물처럼 소리처럼, 형체가 없으나 만져질 것 같은 어떤 것. 사랑은 그런 것일까. 잡아채지지 않으나 존재하고 있는, 이쪽이나 저쪽이라기보다는 그 너머의 아스라함에 가까운 묘연함.


영화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에서 주인공 윤영(박해일 분)은 (전직)시인이며 시의 리듬감으로 일상을 사는 사람이다. 십여 년째 시를 발표 못하고 ‘애매한’ 백수처럼 지내지만, 누군가 건드려 주기 전엔 목을 깃 속에 파묻은 거위처럼 웅크리고 있지만, ‘미친 것 같은’ 순간에 용기를 내본 이후 자기를 끌리게 한 리듬을 줄곧 좇는다. 유일한 할 일인 듯이 열심히. 


좋아하던 송현(문소리 분)과 느닷없는 군산 여행을 감행한 후 분명 그의 고여 있던 십년에는 균열이 왔다. 영화는 상영 한 시간도 더 지나 중간쯤 되면 갑자기 영화 제목을 자막으로 띄운다. 윤영이 가장 외로울 순간이며, 시간 순서상 ‘왜 여행을 갔는지’를 설명하는 서울에서의 전사(前史)다. 카메라는 군산을 독특하게 담아냈다. 역사의 흔적이 혼재된 모습들이 생경하고도 아름답다. 군산이라는 공간에 취한다. 아니 홀린다. 익숙함과 낯섦이 적절히 빚어낸 팽팽한 긴장감이 풍경을 더 아름답게 만든다. 시간과 공간을 자기 원하는 대로 자르고 붙이고 다시 펼치는 일종의 마술사 같은 장률 감독의 ‘베 짜기’ 실력은 일품이다. 


그런데 모든 의미심장해 보이던 것들이 하나하나 끈 풀리듯 날아가 버리고, 관람 후 시일이 지나면 뜻밖에도 ‘노래’가 크게 남는다. 장률 감독은 이런 것을 예상해 “곱씹는 재미가 있는 영화”라고 소개하는 중이다. 잘 안 된 남녀의 시시한 연애실패담일 수도 있을 줄거리, 너무나  유명한 배우들이 툭툭 단역처럼 등장하는 ‘화려한 캐스팅’은 어느 새 배경으로 물러난다. 


‘노래하다’라는 동사가 얼마나 소중한 성취인가를 기어코 발견하게 한다. 그렇다. 노래는 직접 불러 제 몸으로 소리를 내는 사람의 것이다. 바람과의 공명 또한 적절한 때 알맞게 있어줘야 한다. 사람의 몸을 타고 흘러나와야 노래다. 고로 노래는 인간의 것이다. 시작(詩作)하고 시도하는 사람만이 잠시나마 음미할 수 있는. 


한없이 군산에서 헤매던 윤영에게는 이제 돌아온 서울도 집도 낯설고 사는 게 어쩐지 더 쉽지 않아졌다. 더 애매하고 더 이상한 채다. 어쩌면 이 꿈 같은 여정은 실제로 간 곳이 아니며 실제로 만난 인물들이 아닐 수도 있다. 그런들 어떠하리. 관객의 가슴에는 출렁이는 이야기의 바다로 진입할 배 한 척이 남았다. 귓가에 아련한 운율과 함께.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