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3.0℃
  • 구름많음강릉 4.2℃
  • 구름조금서울 3.7℃
  • 구름조금대전 2.9℃
  • 맑음대구 6.7℃
  • 맑음울산 5.6℃
  • 맑음광주 4.8℃
  • 맑음부산 5.0℃
  • 맑음고창 4.6℃
  • 구름많음제주 6.5℃
  • 구름조금강화 4.1℃
  • 구름많음보은 2.6℃
  • 구름조금금산 2.5℃
  • 구름조금강진군 5.0℃
  • 맑음경주시 6.2℃
  • 맑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기자칼럼] 1만원의 가치

날씨가 추워지자 노숙자, 소년소녀 가장과 같은 불우이웃들이 여느 때보다도 생각만(?) 나는 요즘이다.

여기서 어려운 질문을 하나 해볼까 한다. 그대는 길에서 추위에 떨며 앉아있는 할아버지에게 선뜻 돈 1만원을 내어줄 수 있는가? ‘그렇다’라고 망설임 없이 대답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단돈 1만원이라는 것은 눈앞에 보이는 어려운 사람에게 선뜻 건네주기 어려운 단위이기도 하지만 정작 일상생활에서 돈을 쓰다보면 1만원이라는 돈을 그다지 중요하지 않게 느끼기도 한다.

며칠 전 하루에 5천원, 즉 1/2만원을 벌기 위해 일흔을 훨씬 넘긴 할아버지가 리어카를 끌며 하루 종일 폐품을 주우러 다닌다는 보도 자료를 접한 적이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대학생인 우리들이 별다른 일 없이 하루에 소비하는 돈은 대략 1만원 정도이다. 아침·저녁 교통비에 점심과 저녁을 먹고 강의 중간에 음료수라도 한 잔 먹는다손 치면 어느새 우리 지갑에는 돈 1만원이 사라져있다.

그렇게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지는 돈은 단지 물질적으로 나가는 것뿐만이 아니다. 평균적으로 약 3백만원 가량의 등록금을 내고 18학점을 신청하여 15주간 강의를 듣는다 가정하면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졸면서 보내고 있는 강의 한 시간이 대략 1~2만원의 가치를 가진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것만 있을까? 도서관 연체료, 이용하지 않는 휴대폰 부가서비스, 은행수수료 등 사소한 무관심의 대가로 흘러나가는 돈들도 적지 않다.

내가 아무런 생각 없이 보내고 있는 오늘은 어제 죽은 이가 간절히 소망하던 오늘이기도 한 것처럼 단돈 1만원은 누구에게는 하루 종일 추위에 떨며 일해도 벌수 없는 돈이기도 하고 누구에게는 아무 생각 없이 흘러나가는 용돈에 불과하기도 하다. 단지 지금 주머니에 있는 푸른색 종이돈을 아끼자는 말이 아니다. 그 안에 어떤 의미를 담아 쓰고 있는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사설] 왜 읽고 생각하고 쓰고 토론해야 하는가? 읽는다는 것은 모든 공부의 시작이다. 지식의 습득은 읽는 것에서 시작한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식 정보를 수집해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창출해 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읽기다. 각 대학들이 철학, 역사, 문학, 음악, 미술 같은 인문·예술적 소양이 없으면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고전과 명저 읽기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교과 과정으로 끌어들여 왔다. 고전과 명저란 역사와 세월을 통해 걸러진 책들이며, 그 시대의 가장 첨예한 문제를 저자의 세계관으로 풀어낸, 삶에 대한 통찰이 담겨 있는 책이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발하는 정신의 등대 역할을 하는 것이 고전과 명저라 할 수 있다. 각 기업들도 신입사원을 뽑는 데 있어서 자신의 재능과 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에세이와 작품집을 제출하는 등의 특별 전형을 통해 면접만으로 인재를 선발하거나, 인문학책을 토대로 지원자들 간의 토론 또는 면접관과의 토론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등 어느 때보다 인문과 예술적 소양을 중시하고 있다. 심지어 인문학과 예술을 모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