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0℃
  • 맑음강릉 1.8℃
  • 맑음서울 -1.0℃
  • 맑음대전 1.7℃
  • 맑음대구 2.7℃
  • 구름조금울산 2.5℃
  • 맑음광주 2.1℃
  • 맑음부산 3.8℃
  • 맑음고창 -0.5℃
  • 흐림제주 4.6℃
  • 맑음강화 -1.2℃
  • 맑음보은 -0.1℃
  • 맑음금산 0.6℃
  • 맑음강진군 2.7℃
  • 맑음경주시 2.4℃
  • 맑음거제 3.2℃
기상청 제공

[키워드로 보는 세상] #SaveMyanmar, 미얀마 해시태그에 응답하기

미얀마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킨 지 꼬박 두 달이다. 지난 2월 1일 군부는 부정 선거 의혹을 제기하며 아웅산 수치 고문을 구금하고, 1년 간의 비상사태를 선언했다. 군부는 의회를 해산했고, 언론을 통제했다. 핸드폰으로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을 차단했다. 시민들은 은행, 병원, 관공서 등에서 파업을 벌이고, 세 손가락을 들어 보이며 매일 거리로 나온다. 지금까지 미얀마 시민 500명 이상이 숨졌고, 2천500여 명이 체포됐다고 전해진다. ‘미얀마군의 날’이자 ‘저항의 날’인 지난 3월 27일 ‘시민 저항의 날’ 시위에서만 100명이 넘는 시민이 숨졌다. 군부는 부상자를 불구덩이에 내던지고, 장례식장에 급습해 총을 쏘기도 했다. 어린이의 사망 소식도 끊이지 않는다. 2021년의 미얀마에서 1980년 광주가 재현된 것이다.

 

처참한 유혈사태를 목격한 이후 국제사회는 미얀마 군부에 대한 비판 수위를 높이고 있다. 미국은 “미얀마 주민에 대한 혐오스러운 폭력을 규탄한다”라며 민주 정부가 복귀할 때까지 미얀마와의 교역 협정 이행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프랑스도 “미얀마 보안군은 맹목적이고 치명적인 폭력의 새로운 단계에 도달했다”라며 유럽 등 국제사회 파트너들과 미얀마에 대한 제재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국. 미국, 일본 등 12개국 합참의장도 미얀마 군부와 경찰의 비무장 시민에 대한 치명적 무력 사용을 비판하는 성명을 냈다.

 

우리는 매일 미얀마 소식을 어렵지 않게 접한다. 특히 국내 언론보다 SNS를 통해 더 빨리 접하고 있다. SNS 문화에 특화된 ‘Z세대’ 청년들은 마치 목숨을 걸듯 ‘#SaveMyanmar’, ‘#WhatsHappeningInMyanmar’,  ‘#HearTheVoiceOfMyanmar’라는 해시태그를 내걸고 국제사회 연대를 호소하고 있다. 인터넷이 끊긴 미얀마 시민들은 태국 유심을 몰래 구해 쓰고 있는 것이다. 최근 서울에서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 승려들과 국내 미얀마 유학생들이 미얀마 민주화 투쟁을 지지하며 오체투지를 벌였다는 게시글에 미얀마 시민들이 직접 감사 댓글을 달기도 했다.

 

부끄럽지만 지난 두 달 동안 이 해시태그에 제대로 답한 적이 없다. 비상식적이고 반인권적인 군부의 행태에 셀 수 없는 비난이 쏟아질 것이고, 국제사회도 곧 압박에 나서리라 여겼다. 국내 시민사회의 움직임을 보며 이 정도면 충분할 거라 외면했다. 그러나 결국 대규모 유혈사태가 발생하고 말았다. 

 

미얀마 시민들은 아직 거리에 있다. 수도 양곤은 물론 크고 작은 도시들에서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그들은 여전히 해시태그를 달고 국제사회와 연결고리를 만든다. 50년 전 광주처럼 미얀마가 고립되지 않도록, 미얀마 시민들이 건넨 이 연결고리를 잡아야 한다. 우리는 좋아요, 댓글, 공유하기, 해시태그 붙이고 메시지 쓰기 등 일상적이고 하찮은 일들로 그 연결고리를 불릴 수 있다. 더욱 성의를 보이고 싶다면 매주 대구에서 열리는 미얀마 쿠데타 규탄 집회에 한 번쯤 들러 인증샷과 함께 공유해도 좋다. 해시태그로 미얀마 유학생 친구의 안부를 전하거나, 함께 집회에 참여할 수도 있다. 마음만 먹으면 ‘실검’, ‘실트’에 원하는 단어 정도는 올릴 수 있는 우리는 한국의 Z세대 아닌가.





[독자마당] 봉사활동으로 채워지는 꿈 영원히 미성년에 머물러 있을 줄 알았던 내가 성년이 되었다. 봉사활동을 즐겨 하던 어린아이는 어느덧 스물두 살의 대학교 3학년이 되어 ‘청소년’의 끝자락을 향해 가고 있다. 몇 년간 봉사해 오니, 이것이 적성에 맞는 것 같다는 작은 불씨 하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진로를 향한 작은 불씨는 단순히 봉사활동으로 뿌듯함과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아닌, 직업으로 삼아 다양한 연령층을 위해 복지를 지원하고, 클라이언트의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는 큰 불씨로 번지게 되어 사회복지학과에 진학하였다. 대학교에서 한 첫 봉사활동은 학교에서 진행하는 독거노인분들께 ‘편지 작성 및 생필품 포장, 카네이션 제작’이었다. 비록 정기적인 봉사는 아니었지만, 빼곡히 적은 편지를 통해 마음을 전해 드릴 수 있었기에 뜻깊음은 배가 되었다. 하지만 조금의 아쉬움은 있었다. 봉사활동이라고 하면 직접 대상자와 소통할 줄 알았는데 해당 봉사는 대상자와 면담하지 못하고, 뒤에서 전달해 드리는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기에 가장 기억에 남는 봉사활동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장애아동어린이집‘에서 활동한 겨울 캠프 활동 보조일 것이다. 이곳에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아동들이 다른 길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