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about 표현력]

  • 등록 2018.04.02 14:25:48
크게보기

부폐 vs 부패, 삼가다 vs 삼가하다, 불다와 붓다


부폐 vs 부패
A1. 어떤 것이 타락하거나 유기물이 썩는 것은 ‘부폐’가 아니라 ‘부패’입니다. ‘부패의 상징’ ‘음식물 부폐’가 아니라 ‘부패의 상징’ ‘음식물 부패’이지요. 한편 여러 가지 음식을 각자 골라 덜어 먹는 식당을 ‘부폐’나 ‘부페’ ‘부패’라고 쓰기도 하는데, 외래어표기법에 따라 ‘뷔페’로 써야 합니다.
· 부정부패 척결
· 부패가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

삼가다 vs 삼가하다
A2. 삼가 명복을 빕니다’와 같은 식으로 많이 쓰이는 ‘삼가’는 ‘겸손하고 조심하는 마음으로 정중하게’를 뜻하는 부사입니다. 그리고 완곡한 금지의 의사를 전할 때 ‘삼가하다’라고 하는데 이는 ‘삼가다’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아무래도 ‘허가하다’ ‘능가하다’와 같이 한자어에 ‘-하다’가 붙은 말이 많다 보니 습관적으로 ‘삼가하다’를 쓰는 것 같습니다.
‘삼가다’는 ‘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꺼리는 마음으로 양이나 횟수가 지나치지 않게 하다’라는 뜻의 동사입니다. ‘삼가’ ‘삼가니’ ‘삼가는’으로 활용하며 ‘삼가해’ ‘삼가하니’ ‘삼가하는’으로 써서는 안 됩니다.
· 흡연을 삼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 흡연을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악성댓글을 삼가하자는 캠페인 → 악성댓글을 삼가자는 캠페인

불다와 붓다
A3. 물에 젖어서 부피가 커지는 것, 분량이나 수요가 많아지는 것을 뜻하는 동사는 ‘붇다’입니다. ‘불다’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붇다’의 활용 때문입니다. 자음 앞에서는 ‘붇기’ ‘붇는’ ‘붇지’이지만 모음 앞에서는 ‘불어’ ‘불은’ ‘불으니’ ‘불었다’가 됩니다. ‘걷다’가 ‘걷고’ ‘걸어’로 활용 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붇다’와 헷갈리기 쉬운 단어로 ‘붓다’가 있습니다. 액체나 가루를 다른 곳에 담는 것 말고도 살이나 몸의 기관이 부풀어 오르는 것과 돈을 일정 기간 마다 내는 것에도 ‘붓다’를 씁니다. 물도 붓고, 적금도 붓고, 편도선도 붓습니다. 모음 어미 앞에서 ‘붓다’는 ‘부어’, ‘부은’ ‘부으니’ ‘부었다’와 같이 활용합니다.
· 라면 붇기 전에 빨리 먹어.
· 퉁퉁 불은 라면, 퉁퉁 부은 눈
· 야식은 얼굴 붓고 체중 붇는 주범이다.


정답: [ X, O, X ]
조민영(표현력증진센터 · 연구원) sang9809@gw.kmu.ac.kr
< 저작권자 ⓒ gokmu.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계명대신문 [426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아람관 105호 전화번호 : 053) 580-5731 저작권자 ⓒ gokmu.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