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대학 수강 정원 부족

  • 등록 2024.09.10 23:53:32
크게보기

온라인 강의 등 다각적 대안 마련 절실

 

미술대학 학생들 사이에서 ‘전공 및 교양 과목 정원 부족 문제’가 큰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온라인 학생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 “미술대학 재학생은 1천7백여 명인데, 2학기에 운영될 균형교양 정원은 1천1백60석밖에 되지 않는다”, “균형교양 과목수는 저번 학기 보다 8과목이나 줄었다” 등 여러 불만 글이 게시되면서 동조 여론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학생들의 의견대로 현재 수강정원이 부족한 상황일까? 이 부분에 대해 교무·교직팀 최보라 선생을 만나 현 문제에 대한 자세한 얘기를 들어보았다.

 

● 부족한 미술대학 균형교양 정원

우측 표에 나타난 것처럼, 산술적으로 보면 대명캠퍼스에 배분된 균형교양 정원은 부족하다. 이는 1만8천여 명이 2만5천여 석의 균형교양을 수강할 수 있도록 정원이 배분된 성서캠퍼스와 비교되는 부분이다. 왜 이러한 문제가 생겼을까? 그 이유는 ‘교원 확보 실패’와 ‘수업 개수의 감소’ 때문이다. 미술대학만 있는 대명캠퍼스에서 강의하길 희망하는 교원은 적고, 그 외 모든 단과대학이 있는 성서캠퍼스에서 강의하길 희망하는 교원은 많아지면서 자연히 수업 개수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2학기는 1학기 대비 8개의 과목이 줄어들었고 정원 4백석이 줄어들었다.

 

● 정원 부족 문제 해결 위한 노력

그동안 교무교직팀은 균형교양 과목을 5학기(졸업을 위해선 6영역 중 5영역 이상 이수해야 함.) 동안 이수하는 학생들을 위해 재학생의 62.5%(8학기 중 5학기) 이상을 수강정원으로 확보해왔다. 이번 학기 역시 미술대학 재학생의 62.5%인 1천93석보다 많은 1천3백75석을 배분함으로써 균형교양 관련 요건을 충족하도록 정원을 배정했다. 동시에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교육지침도 개정했다. ‘2024학년도 교육과정 이수지침’에 따르면, 2023학년도 미술대학에 입학한 학생부터 3개(문학과 예술, 글로벌리더십, 진로탐색/자기계발/창업)의 영역 중, 2개의 영역만 이수하면 졸업 요건을 충족한다. 이는 6개 중 5개의 영역을 이수해야 했던 이전 기준과 비교하면 상당히 완화된 조건이기에 학생들의 부담이 크게 경감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정원이 충분하지 않다는 의견에 대해 최보라 선생은 “현 상황이 최소한의 기준은 충족하지만, 넉넉하지 않은 상황이라는 건 인지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2025학년도부터는 여러 혁신적인 교수법을 적용하고, 미술대학 학생들을 위한 원격강의를 늘리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 미술대학 수강 정원이 적은 이유

미술대학 학생들은 균형교양의 부족과 더불어 전공 수업의 정원이 타 단과대보다 부족하다고 꼬집기도 했다. 이에 단과대별로 재학생 총원 대비 전공수업 정원의 합을 비례하여 값을 산출한 결과, 수강정원이 가장 충분한 단과대학은 간호대학(7.5배), 체육대학(5.1배), 경영대학(4.5배) 순이었고, 가장 부족한 단과대학은 미술대학(2.8배), KAC(3.0배), 공과대학(3.2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최보라 선생은 “우선 모든 학과가 학위 취득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원을 확보해 운영하고 있다. 다만, 이렇게 특정 학과에 정원이 많이 몰리는 이유는 학과마다 졸업기준이 상이하고, 특정 학과에 복수·부전공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많아지다 보니 생긴 현상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타 단과대학 대비 미술대학의 수강정원이 부족한 것에 대해 “미술대학의 경우 학과에서 정해놓은 방법대로 일부 인원을 먼저 배정하는 경우가 있다. EDWARD시스템에 공시되어 있는 정원은 우선 배정된 인원이 제외된 통계이기 때문에 이런 값이 나온 것 같다.”라고 답했다.

 

● 학생 수업권이 충분히 보장되려면?

학생들에게 있어 수업권은 당연한 권리다. 그렇기 때문에 최소한의 정원과 학점이 보장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학생이 원하는 수업을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현재의 대학 교육 시스템은 한정된 재원으로 이를 해결하려다 보니 불가피하게 정원을 규제하고, 선착순으로 수강생을 받고 있지만 온라인 시대가 된 지금은 공간의 제약에서부터 많이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이젠 온라인이라는 공간 속에서 조건에 구애받기 보단 하고 싶은 학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정부와 학교가 교육 생태계의 전반을 개선해나가야 한다.

 

정예람 기자 yeramupmu@naver.com
< 저작권자 ⓒ gokmu.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계명대신문 [426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아람관 105호 전화번호 : 053) 580-5731 저작권자 ⓒ gokmu.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