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문화유산] 병산서원과 배롱나무

  • 등록 2019.09.02 16:57:27
크게보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경북 안동시 풍산면에 위치한 병산서원은 우리나라 서원 중에서 배롱나무가 가장 많을 뿐 아니라 조영이 가장 아름다운 곳이다. 병산서원의 조영에서 가장 빛나는 것은 2.3km 정도의 비포장 길이다. 우리나라 9곳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정 서원 중에서 비포장 길은 병산서원이 유일하다. 병산서원으로 가는 길은 더디고 아주 불편하지만 땅의 기운을 마음껏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빛나는 것은 낙동강과 병산이다. 병산서원으로 가는 길 왼편은 상당히 깊은 낙동강이 굽이굽이 흐른다. 그래서 길도 물길처럼 굽이굽이 둥글둥글하다. 서원 앞 낙동강변의 모래밭은 대한민국 어느 서원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병산서원만의 가치다. 낙동강변의 병산은 병풍을 닮아서 붙인 이름이지만 중국 당나라 두보의 「백제성루(白帝城樓)」 중 ‘푸른 병풍 같은 산은 저물녘에 잘 어울린다(翠屛宜晩對)’에서 빌렸다. 병산서원을 한층 빛나게 하는 만대루도 두보의 시에서 차용했다.   

 

병산서원은 복례문 입구부터 존덕사 앞, 그리고 서원 주변까지 온통 부처꽃과의 갈잎중간키나무 배롱나무가 살고 있다. 백일홍의 우리말인 배롱나무의 다른 이름 중 자미화(紫薇花)는 ‘북극’을 의미하는 ‘자미’ 덕분에 황제의 나무였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궁궐에 배롱나무를 심었으며, 당나라 현종은 자신이 머물렀던 중서성을 자미성(紫薇省)이라 고쳐 불렀다. 우리나라 궁궐에 배롱나무를 심은 것도 임금을 상징하는 나무였기 때문이다. 붉은 색의 배롱나무 꽃과 매끈한 줄기는 일편단심과 표리일치를 상징한다. 그래서 후손과 후학들은 조상과 스승을 모신 사당이나 묘소 앞에 배롱나무를 심었다. 서애 유성룡과 그의 셋째 아들 유진을 모신 존덕사 사당 앞에도 나이가 아주 많은 배롱나무가 살고 있다. 

 

병산서원 복례문에서 만대루와 입교당까지 이어지는 돌계단은 예적 질서를 구현하기 위한 기획 작품이다. 서원의 이 같은 조영은 허와 실, 실과 허의 변증을 통해 이루어진다. 병산서원의 이 같은 아름다운 광경을 만끽하기 위해서는 복례문 앞에서 앉아 입교당까지의 동선을 살펴야 한다. 특히 공자가 안연의 인에 대한 물음에 답한 극기복례에서 따온 복례문에서는 사사로운 욕망을 모두 걷어내야만 하늘이 준 인간의 착한 본성을 온전히 드러낼 수 있다. 병산서원의 강당인 입교당도 인간의 본성을 드러내는 길을 가르치는 강학 공간이다. 복례문과 만대루 사이 왼쪽에 위치한 연못인 광영지는 연꽃을 노래한 중국 북송 주돈이의 작품인 ‘애련설’의 유산이지만 안타깝게도 수련이 살고 있다. 병산서원 입교당 마당에는 청매와 홍매, 그리고 무궁화가 살고 있다. 서원에 사군자 중 하나인 매실나무를 심은 것은 흔한 일이지만 무궁화를 심은 경우는 아주 드물다. 병산서원의 무궁화는 안동의 예안향교의 무궁화와 더불어 애국을 상징하는 나무다.

강판권(사학 · 교수) k6356@gw.kmu.ac.kr
< 저작권자 ⓒ gokmu.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계명대신문 [426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아람관 105호 전화번호 : 053) 580-5731 저작권자 ⓒ gokmu.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