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0년 경기도 업종별 사업체 증감 현황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기자 = 편의점과 통신기기소매점, 자전거소매점은 대폭 늘어나고 문구점, 중국음식점, 동네슈퍼는 크게 줄었다.
경기도가 2010년 경기도 사업체 조사결과를 토대로 지난 10년간 늘어난 업종의 사업체와 줄어든 업종의 사업체를 분석했다.
20일 이 자료에 따르면 2000년 530곳이던 24시간 운영 편의점은 10년 뒤인 2010년 4천165개로 무려 8배 가까이로 급증했다.
또 이동통신기술 발달과 이동통신 기기 이용자 증가로 통신기기소매점도 이 기간 1천567곳에서 4천844곳으로 3배로 늘었다.
안경이 패션아이템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젊은 학생들을 중심으로 시력이 떨어지면서 안경점 또한 70.5% 증가했고, 나홀로 가구와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세탁업소도 22.2% 늘었다.
이밖에 자전거 열풍에 따라 자전거소매점이 44.6% 늘었으며, 한동안 감소세를 보이던 당구장과 커피점(다방)은 최근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반면, 이 기간 동네슈퍼는 편의점 증가의 여파로 1만8천146곳에서 1만4천678곳으로 19.1% 감소했고, 문구점도 각급 학교의 학습준비물 제공 및 학생ㆍ학교수 감소영향으로 4천687곳에서 3천534곳으로 24.6% 줄었다.
또 피자와 햄버거 등의 인기가 증가하면서 중국음식점 역시 4천468곳에서 3천838곳으로 14.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는 있으나 PC방과 커피점(다방) 역시 이 기간 전체적으로는 7.2%와 13.8% 감소했다.
경기도의 한 관계자는 "개인 사업체의 경우 유행에 민감해 인기 업종이 한번 생기면 동일한 업체가 급격히 늘어났다 사라지곤 한다"며 "소자본 개인 창업자들은 이런 흐름에 따른 피해가 없도록 면밀한 사전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