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칼럼] 아랍 민주화의 날갯짓, 그 결과는...

  • 등록 2011.03.16 11:02:20
크게보기

어렸을 적 마법의 양탄자를 타고 램프를 문지르면 요정이 나타나 세 가지 소원을 들어주던 동화를 기억하는가? 요즘 그 동화 속 아랍세계가 심상치 않은 거센 바람 속에서 요동치고 있다. ‘나비효과’이론을 내세운 미국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는 나비의 날갯짓처럼 작은 변화가 폭퐁우 같은 큰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재스민 혁명’을 일으킨 튀니지를 시작으로 이집트, 리비아, 요르단, 예멘 등 철옹성으로 여겨졌던 여러 아랍왕정국가들에게까지 민주화의 열기가 고조되어가는 중이다.

각 종 언론매체는 이를 실시간으로 보도하고 있으며, 세계의 모든 이목이 이곳에 집중되어 있다. 심지어 아랍문화권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지 않던 우리나라 역시 지금의 사태에 예의주시하는 상태이다. 사실 독재자에 대한 억압은 공산주의체제인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우리나라에게 있어 비단 새로운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전 세계인들이 왜 아랍사태에 주목하는가?

이는 중동 국가들이 가지고 있는 석유 때문일 것이다. 미국과 같은 강대국들이 아랍사태가 하루빨리 안정을 찾길 바라는 것 역시 석유가격을 안정시키지 않는다면 세계경제에 큰 파장이 일어날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랍의 민주화 운동은 단순한 경제위기만을 야기하지 않는다. 절대군주제를 반대한 최초 시민혁명인 프랑스의 2월 혁명이나 사회 모순에 반기를 든 프랑스의 5월 혁명 같은 저항 운동이 구시대적인 가치관에서 벗어나 평등, 성 해방, 인권 등 진보적인 사회의 가치로 바뀌는 것을 이미 우린 본적이 있다.

이처럼 아랍의 민주화 열기가 알프스를 넘어 중국과 북한에까지 이어진다면 우리는 또 다른 기대를 가질 수 있다. 형이 바뀌면 동생도 변하듯 중국이 변한다면 충분히 북한에게까지 파급효과가 발생한다. 지금의 아랍혁명을 보고 군주제 국가라는 큰 틀이 무너지고 왕이 쫓겨나거나 하는 상황은 벌어지지 않는다고 그 누가 호언장담할 텐가.

단지 민주화를 갈망하는 국민들 이 총과 미사일 같은 무력을 앞세운 독재자에게 학살당하는 끔찍한 비극이 되풀이 되지 않길 바란다. 민주화라는 소용돌이 속에서 누구보다 가장 고통 받는 것은 독재자가 아닌 바로 그 나라의 국민이기 때문이다.

이제 아랍에서 일으킨 민주화의 바람은 자유와 평등이라는 날개를 달고 더욱 빠르고 멀리 퍼져 나갈 것이다. 그리고 결국에 이뤄낼 것이다. 알라딘이 자신의 마지막 소원을 ‘자유’로 정한 것처럼
이승준 기자 blueie87@kmu.ac.kr
< 저작권자 ⓒ gokmu.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계명대신문 [426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아람관 105호 전화번호 : 053) 580-5731 저작권자 ⓒ gokmu.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